
[서울와이어 김남규 기자] 우리금융그룹(회장 손태승)은 8일 실적발표를 통해 2022년 3조1693억원의 당기순이익을 시현했다고 밝혔다.
우리금융 측은 “대내외적으로 어려운 영업환경 속에서도 핵심이익의 견조한 증가, 적극적인 비용관리, 그리고 비은행 부문 확충 효과를 바탕으로 호실적을 거양했다”고 설명했다.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을 합한 순영업수익은 9조8457억원으로 전년대비 18.0% 증가했다. 이자이익은 기업대출 중심 대출 성장에 기반하여 꾸준한 개선세를 보였고, 비이자이익은 시장금리 상승에 따른 유가증권 관련익 감소에도, 신탁, 리스(캐피탈) 관련 영업부문 호조로 수수료이익이 전년 대비 16.2% 증가하며 안정적 비이자 창출력을 보여줬다.
자산건전성 부문은 급격한 금리상승 및 대내외 경기둔화 우려에도 고정이하여신(NPL) 비율 0.31%, 연체율 0.26%로 업계 최저 수준을 유지했다. 우량자산비율과 NPL커버리지비율도 각각 89.2%, 214.2%를 기록하며 미래 경기 불확실성에 대비했다.
그룹 판매관리비용률은 글로벌 인플레이션 환경에도 불구, 비용효율화 노력으로 전년 대비 3.1%p 개선된 44.4%를 기록하며 개선세를 이어나갔다.
우리금융은 2022년 주당 1130원의 (중간배당 150원 포함) 배당을 실시한다고 공시했다. 또한 금융환경 변화 등에 대비해 현 보통주 자본비율을 최대한 조기에 12%로 개선하고, 그 과정에서는 자사주 매입·소각을 포함해 총주주환원율 30% 수준을 매년 실시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배당금액에 대한 가시성을 제고하기 위해 분기배당 도입 계획을 언급하는 등 우리금융은 주주가치 제고 및 주가부양에 대한 적극적 의지를 피력했다.
우리금융그룹 관계자는 ”2022년은 거시 환경 불확실성에도 이익창출력 및 리스크관리 역량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킨 한 해였다“며 ”올해에도 수익성 개선 노력은 지속하되, 리스크관리에도 집중하여 금융시장 불안요인에 대응하고, 금융소비자 보호와 권익 제고를 확대해 나가면서 다양한 사회공헌활동들도 적극 펼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주요 자회사별 연결 당기순이익은 우리은행 2조9198억원, 우리카드 2044억원, 우리금융캐피탈 1833억원 및 우리종합금융 918억원을 시현했다.
- [기자수첩] K-배터리 강세 '일장춘몽' 되지 않기를
- 코스피, 외인·기관 '사자' 2480선 회복… 코스닥, 780선 눈앞
- IBK연금보험, 종합 생명보험사 전환 추진한다
- 중국 '파상공세' 속 K-배터리 글로벌 점유율 하락
- 이상민 행안부장관 탄핵안 가결… 헌정사 첫 사례
- '구글 vs MS' AI 챗봇 수 싸움… '바드' 공개에 챗GPT 탑재한 '빙' 출시
- 곽상도, '아들 50억 퇴직금' 무죄
- 바이든 "중국이 주권 위협하면 행동한다"… 경제는 '일자리 확대' 방점
- [포토] 법정으로 향하고 있는 화천대유 김만배
- [포토] 법정으로 향하고 있는 화천대유 김만배
- "형제나라 돕자"… 튀르키에 지진 피해, 韓기업 '도움의 손길' 이어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