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따른 금리 인상에 대출이자 부담 가중돼
막대한 수익 중 일부는 구성원 성과급으로
한 해 총 규모 1조3823억, 전년 대비 35%↑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고금리 시대’ 금융업계에 따가운 눈총이 쏟아지는 가운데 지난해 5대 시중은행( KB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에서 지급한 성과급 총액은 1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권 안팎에서 서민 이자 부담에 대응책 마련을 촉구하는 등 여론은 더욱 악화할 것으로 보인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황운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4일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의 성과급은 총 1조3823억원이다. 2021년(1조193억원) 대비 35% 늘어난 수치다. 금액으로만 3628억원 증가했다.
지난해 잇따른 금리 상승으로 인한 서민들의 경제적 고통에도 시중은행은 이자 장사로 벌어들인 최대의 수익을 직원 성과급으로 제공해 온 셈이다. 은행별 농협은행 성과급 총액이 6706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국민은행(2044억원), 신한은행(1877억원), 하나은행(1638억원), 우리은행(1556억원) 순이다.
직원 1인당 지급한 성과급은 우리은행이 1억720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최근 경기침체 분위기 속 이 같은 모습은 금융권의 돈 잔치로 비치는 등 정부와 당국의 압박 수위는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특히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14일 주재한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은행은 공공재적 성격이 있다"면서 "은행의 돈 잔치로 국민들의 위화감이 생기지 않도록 금융위는 관련 대책을 마련하라"고 주문했다.
윤 대통령은 ‘공공재’ 발언으로 과거 외환위기 당시 금융권에 정부의 대규모 공적자금이 투입됐다는 점을 상기했다. 사실상 정부의 인가를 통해 안정적인 수익이 보장되는 환경에서 막대한 이익을 주주와 본인들 잇속 챙기기에 쓴 행태를 비판한 셈이다.
황 의원도 이와 관련 “가파른 금리 인상과 물가 상승으로 국민 대다수가 대출이자 인상과 가계 부채로 힘겨워하는 와중에 은행들이 성과급으로 역대급 돈 잔치를 벌인 것은 은행의 공공적 성격을 저버리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이어 “사상 초유의 영업이익을 내놓고 상생금융 대신 성과급 잔치를 벌인 것에 대해 어느 국민이 납득하겠나”며 “국회 정무위원회 위원으로서 은행권 성과급 체계를 종합적으로 정비해 은행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금융당국도 정부와 정치권 주문에 시중은행을 대상으로 관리감독 강화에 나설 계획이다. 이에 시중, 인터넷 은행들은 바짝 긴장한 모습으로 사회적 환원 등의 실적적 대응책 마련에 골몰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