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TP 인지 못하고 M&A시도는 졸속행정 처리
캠페인 세부내용 모르고 공감했다 표현 문제
CTP 파장 커지자 국세청 주시, 주총 전 난타전

[서울와이어 한동현 기자] 이성수 SM엔터테인먼트 공동대표를 위시한 SM 측이 이수만 전 SM 총괄 프로듀서(PD)와 하이브에 연타를 날리고 있다.
역외탈세 의혹 제기에 하이브가 몰랐다는 입장을 밝히자 적대적 인수합병(M&A) 시도가 졸속이라는 주장이다.
SM은 17일 보도자료를 통해 전날 이 공동대표가 제기한 의혹과 주장을 바탕으로 하이브를 공격했다.
SM은 하이브가 CTP를 몰랐다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회사는 “‘해외판 라이크기획’인 CTP는 실체를 숨기기 위해 SM이 아닌 해외 레이블사와 직접 계약을 체결했고 SM과는 거래 관계가 없으니 하이브가 계약 종결로 해소시킬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고 밝혔다.
이어 “하이브가 '해외판 라이크기획'인 CTP를 인지하고도 주식매매계약을 체결했다면 이수만 전 총괄 프로듀서의 역외탈세 의혹에 동조 내지는 묵인한 것”이라며 “이를 모른 채 주식매매계약을 체결했다면 이수만 전 총괄 프로듀서에게 속았다는 것을 자인하는 셈”이라고 강조했다.

SM은 “1조가 넘는 자금이 소요되는 적대적 M&A를 실사 한번 없이 졸속으로 처리한 하이브 경영진이 주주, 관계 기관 등 여러 이해관계자들께 설명할 부분”이라며 하이브를 공격했다.
방시혁 하이브 의장이 밝힌 공식입장문에도 문제가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SM은 방 의장이 "하이브는 이수만 선생님께서 추진해 오신 메타버스 구현, 멀티 레이블 체제 확립, 지구 살리기를 위한 비전 캠페인과 같은 전략적 방향성에 전적으로 공감했다"고 밝힌 부분을 문제 삼았다.
방 의장이 이 PD의 비전에 깊이 공감했다고 말했는데 캠페인의 세부 내용과 그 목적을 몰랐다는 것도 문제라는 주장이다. 하이브는 전날 관련 내용에 대해 “이 PD와 관련된 어떤 형태의 활동이나 캠페인이 SM과 직접 연계되지 않았다면 관여할 이유가 없다”며 “주식매매계약을 체결할 때 ESG 관련 캠페인의 세부내용을 전달받지 못했다”고 해명한 바 있다.
이와 별개로 SM 인수 공방전에 역외탈세 의혹까지 불거지면서 국세청의 개입도 예고됐다. 국세청은 이 공동대표의 폭로 영상 공개 후 역외탈세 의혹에 대해 법과 원칙에 따라 조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업계 관계자는 “SM이 이 PD의 치부를 공개하면서 하이브와 이 PD가 가져가던 주도권을 뺏은 모양새”라며 “다음달 열리는 주총까지 추가적인 폭로 여부에 따라 상황이 뒤집힐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 [포토] 기조연설 중인 이수만 SM엔터테이먼트 프로듀서
- 카카오·하이브 업은 SM 집안싸움… 우위는 누구에게?
- 방시혁, 이수만의 '광야' 키워줄까… "경영선진화 적극 협력"
- 하이브, SM 집어삼키나… 이수만 지분 14.8% 매입
- 이수만 빠진 '광야'에 카카오 참여?… SM 집안싸움 향방
- 하나은행, ‘이자 캐시백 희망 프로그램’으로 취약계층 지원
- 이수만 역외탈세 진화 나선 하이브 "결코 일어날 수 없는 일"
- 이복현 “빅테크의 금융 진출 리스크 커… 규제 필요”
- SM의 연이은 반격… "하이브 M&A는 다방면서 문제될 것"
- 증권가, 이상한 목표주가 상향… 투기로 폭등한 SM에 “강한 펀더멘털 확인”
- 껍데기만 가져가는 하이브?… SM, 카카오에 음반·음원유통 맡긴다
- 이수만, SM엔터 손 털더니 중국 '드론 택시' 이항에 투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