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17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빅테크의 금융업 진출진단 및 향후과제 세미나'에 참석해 인사말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17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빅테크의 금융업 진출진단 및 향후과제 세미나'에 참석해 인사말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 김남규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17일 빅테크의 금융업 진출 확대와 관련해 “새로운 금융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다”며 “규제 체계를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빅테크의 금융업 진출 진단 및 향후 과제’ 세미나 축사에서 이같이 말하고, 정보기술(IT) 혁신기술에 기반한 빅테크의 금융업 진출 확대로 금융서비스 편의성이 증대되고 서민·취약계층의 금융 접근성을 높였다고 평가했다.

다만, 빅테크의 금융업 진출에 따른 새로운 리스크가 발생 우려가 커졌다는 점도 지적했다. 

이 원장은 “빅테크에 대한 기관중심 규제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는 제안에 대해 심도깊은 논의와 연구가 있어야 한다”며 “금융시장 안정성이 저해될 위험이 있다”고 언급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비대면 예금 쏠림 현상에 따른 금융사의 건정성과 유동성 악화를 꼽았다. 

지난해 발생한 카카오 데이터 센터 화재를 언급하면서 “빅테크의 운영리스크가 금융회사로 전이될 위험이 있다”며 “금융상품 추천 시 플랫폼 사업자의 이해관계에 유리하도록 알고리즘을 변경하는 등 불건전 영업행위에 의한 금융소비자의 효익을 침해할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빅테크가 위험관리·내부통제 역량을 높여 금융소비자의 신뢰를 확보해야 금융산업 혁신이 촉진되는 선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며 국제통화기금(IMF), 국제결제은행(BIS) 등 국제기구의 빅테크 관련 규제체계 제안에 대한 관심을 촉구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