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내 대학 중 첫 금지 사례

각국의 대학들이 대화형 인공지능(AI)인 ‘챗GPT’에 대한 대응에 나선 가운데 아시아 명문 홍콩대학교가 챗GPT 사용 금지령을 내렸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각국의 대학들이 대화형 인공지능(AI)인 ‘챗GPT’에 대한 대응에 나선 가운데 아시아 명문 홍콩대학교가 챗GPT 사용 금지령을 내렸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각국의 대학들이 대화형 인공지능(AI)인 ‘챗GPT’에 대한 대응에 나선 가운데 아시아 명문 홍콩대학교가 챗GPT 사용 금지령을 내렸다. 홍콩에 있는 대학교 중 챗GPT 등 AI 도구의 사용을 금지한 곳은 홍콩대가 최초다.

지난 19일 중국 신원왕에 따르면 허리런 홍콩대 부총장은 최근 내부 이메일에서 “대학 내 모든 수업, 과제 및 평가에 챗GPT 또는 다른 AI 도구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며 “학생이 사전에 해당 수업 교사에게 서면 동의(허가)를 얻지 않는 한 학교 측은 이를 표절로 취급하겠다”고 밝혔다.

또 “만약 학생이 챗GPT나 다른 AI 도구를 사용했다고 교사가 의심하면 학생에게 과제에 대해 논술하도록 하거나 추가 시험을 요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이는 단기적인 조치인 것으로 알려졌다. 허 부총장은 “학기 중 매주 수업과 평가가 있는 만큼 갑자기 새로운 정책을 도입하기 어려워 이런 단기 조치를 마련했다”며 “홍콩대학은 AI 도구가 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교사와 학생을 초청해 토론을 진행하고 관련 세미나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미국 등 각국의 학교와 대학들은 표절 우려로 이미 챗GPT 금지령을 내린 상황이다. 뉴욕시 교육부는 지난달 초 모든 공립고에 챗GPT 사용을 금지했다. 시애틀 일부 공립고에서도 챗GPT 사용이 금지됐다. 미국 내 여러 대학도 학생들의 챗GPT 사용을 막기 위해 과제를 줄이고 자필 에세이 과제와 구술 시험을 확대할 계획이다.

프랑스 명문대인 파리정치대학(시앙스 포)도 챗GPT나 유사 AI 도구의 사용을 전면 금지했다. 인도 벵갈루루의 RV대학도 학생들의 챗GPT 사용을 금지하기로 했다. 호주의 대학들도 AI 도구 사용을 막기 위해 시험 형식을 바꿀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