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림대 도헌학술원 개원 기념 학술심포지엄서 기조연설
"반도체는 핵심산업, 미래기술 강화로 경쟁력 강화해야"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박정호 SK하이닉스 대표이사 부회장이 “인공지능(AI) 시대에 일어날 기술혁신의 중심에는 항상 메모리반도체가 있을 것”이라며 “글로벌 빅테크 기업이 뛰어든 AI챗봇서비스가 앞으로 반도체 수요의 새로운 ‘킬러 애플리케이션’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강조했다.
박 부회장은 15일 서울 광화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림대 도헌학술원 개원 기념 학술심포지엄에서 기조연설자로 나서 ‘AI 시대, 한국 반도체가 나아갈 길’을 주제로 최근 AI 챗봇시장 확대에 대해서 언급했다.
그는 이날 “SK하이닉스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최고속 D램인 HBM은 AI 시대 기술 진화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면서 “CPU에 직접 연결되는 기존 메모리 용량 확장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CXL 등 공유 메모리(Pooled Memory)의 역할도 중요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박 부회장은 “AI시대가 본격화되면서 과거에 못 푼 난제가 해결되고, 자율주행차, 로봇 바이오 등의 분야에서 혁신적인 제품과 서비스가 탄생해 우리의 삶이 이전과는 다른 모습으로 변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그는 메모리반도체가 기술 발전에 기여한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로 아이폰을 예로 들었다.
박 부회장은 이와 관련 “아이팟(iPod)이 처음 출시될 당시 저장 장치로는 하드디스크(HDD)가 사용됐으나, 메모리 기술이 발전하면서 낸드 메모리가 HDD를 대체하며 스마트폰 혁신으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이어 “챗GPT 등 AI 시대가 펼쳐지고 관련 기술이 진화하면서 글로벌 데이터 생성, 저장, 처리량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한국 반도체 경쟁력 유지를 위해서 우수 인재와 정부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그는 “반도체는 20년 이상 한국의 수출 1, 2위 품목이다. 산업 종사자도 31만 명으로 추산되는 등 한국의 글로벌 메모리 시장점유율은 62%로 압도적이다. 그런 만큼 국가 차원에서 강화해야 하는 핵심 산업”이라고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육성의 필요성을 꺼내 들었다.
박 부회장은 “세계 각국은 글로벌 반도체 전쟁에서 이기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며 “한국이 반도체 강국의 위상을 지키기 위해서는 ▲우수 인재 육성 ▲정부의 반도체 생태계 강화 노력 ▲미래 기술 준비가 필수적”이라고 제언했다.
관련 업계에서도 인재 확보가 가장 시급하지만, 현재 예상치로는 오는 2031년 학·석·박사 기준으로 총 5만4000명 수준의 인력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에 전문가들은 전국의 지역별 거점 대학에 반도체 특성화 성격을 부여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본다.
박 부회장은 대안 중 하나로 기업, 소부장, 학계가 함께 반도체 생태계를 활성화할 플랫폼으로 미니 팹(Mini FAB) 구축을 제안했다. 현재 SK하이닉스도 2027년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내에 미니 팹 성격의 300㎜ 기반 ‘트리니티 팹(Trinity FAB)’을 계획 중이다.
끝으로 그는 지구와 인류에 기여할 수 있는 반도체 기술혁신이 이뤄져야 한다며 “한국 반도체가 고효율·고성능 제품 개발 등을 통해 리더십을 갖춰 다시 업계 경쟁력 강화로 이어지는 선순환을 모색해야 한다”고 연설을 마무리했다.
- [메타센서] 급박한 로비전… 미 반도체과학법 받아치는 삼성·하이닉스
- [반도체 겨울나기 ②] K팹리스, 연매출 2조기업 나와도 암울
- [CEO투데이] 손 대면 성공하는 박정호 부회장의 '미다스 마법'
- 챗위안은 검열칼날, 구글 바드는 답변오류… 삐걱대는 생성형 AI시장
- '구글 vs MS' AI 챗봇 수 싸움… '바드' 공개에 챗GPT 탑재한 '빙' 출시
- 김기남, 박정호 등 반도체 리더의 고민…"업계 최대 문제는 인력양성"
- 정부 '경기 둔화' 첫 인정… 수출부진에 기업심리도 악화
- 정부, AI산업 지원 확대… '한국판 챗GPT' 기반 만든다
- "AI 쓰지마" 일부 미 대학 이어 홍콩대도 챗GPT 사용금지령
- 애플페이 다음달 상륙… 프랜차이즈업계, 준비작업 '속도'
- 미국 "삼성·SK가 중국서 만드는 반도체에 한도 설정"
- 메타도 챗GPT 열풍 가세… '라마' 강점은 실용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