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계와 산업계 만으로는 순환 사이클 유지 어려워
지역저항선으로 지역인재 수급도 문제, 정부 나서야
각 지역거점대학에 반도체학과 신설 후 인재 수급 제안

[서울와이어 한동현 기자] 국내 반도체산업 인재부족문제에 국가도 적극적으로 나서야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김기남 삼성전자 종합기술원(SAIT) 회장, 박정호 SK하이닉스 대표이사 부회장 등 국내 반도체업계 전문가들 관련 문제를 경고했다.
한림대학교 도헌학술원 개원기념 심포지엄이 15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렸다. 이날 행사 주제는 열린 'AI시대, 한국의 디지털·반도체 산업과 대학교육'이었다.
참석자들 대부분이 분야 리더로 꼽히는 인물들로 이들은 인재가 국내 반도체산업의 핵심이라고 입을 모았다. 또 기업 차원에서 할 수 있는 지원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데도 동의했다.
김 회장은 이날 기조연설자로 나서서 ”첨단 기술 경쟁력을 만들어내려면 가장 중요한 것은 우수한 인력“이라며 ”아무리 지금 인공지능(AI)과 챗GPT가 잘한다고 해도 반도체 공정 데이터를 학습하지 않으면 전혀 쓸모가 없다“고 말했다.
이어 "인력 양성에 관해 솔직히 말씀드리면 저희도 반도체 계약학과도 만들고 무지 노력했는데 잘 안된다"며 "기업이 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고 국가, 학계, 산업계가 공동으로 노력해 선순환 사이클을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김 회장은 "국가가 훌륭한 정책을 만들고 연구개발(R&D)을 통해 학교에서 좋은 인력을 양성하도록 뒷받침하면 그 인력이 회사에 들어와 돈을 벌고 회사는 재투자를 하는 사이클을 만들면 문제없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박 부회장도 같은 의견을 냈다. 반도체 인재 육성을 위해 정부가 나서야 하며 특히 지역저항선을 해소하는데 앞장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부회장은 “한국이 미래 반도체 강국이 되려면 우수 인재를 육성하고, 정부가 반도체 생태계를 강화해야 한다”며 “경기도 용인에 클러스터를 만들고 있는데 지역 저항선이 있어 이남으로 내려가면 인재를 뽑을 수 없는 상황으로 정부가 나서 해결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정부가 나서서 지역 반도체인재 양성을 지원할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 박 부회장은 “2031년 학사·석사·박사 모두 보면 5만4000명 수준의 인력이 부족해진다”며 “전국의 지역 거점 대학에 반도체 특성화 성격을 부여하면 지역경제 활성화와 국가균형발전에도 도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대학 교육과정에도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AI 인재들이 대학에서부터 엔비디아의 개방형 플랫폼인 코다(QODA) 프로그램에 익숙해 있다”며 “이미 학교에서부터 뒤처지고 있다는 의미인데 그렇다면 이 싸움에서 이길 수 없다”고 지적했다.
- 주주행동주의, 인적분할 추진에 제동… OCI·대한제강·이수화학 '전전긍긍'
- 주택청약통장 매력도 '뚝'… 한달새 15만명 감소
- '배민' 창업자 김봉진, 13년 만에 대표직 사임… 해외사업 전념
- 삼성디스플레이, 신형 'QD-OLED' 임직원들에 최초 공개
- 박정호 SK하이닉스 부회장 "AI시대 중심엔 메모리반도체… 기술혁신 필요"
- 유럽의회, 2035년부터 휘발유·디젤 승용차 판매금지 대못 박았다
- 일시적 추락이었나… 일주일 만에 집값 하락폭 다시 '축소'
- 이재명, "尹 검찰권 사유화 선포… 법치주의 무너진 날"
- "AI 쓰지마" 일부 미 대학 이어 홍콩대도 챗GPT 사용금지령
- 메타도 챗GPT 열풍 가세… '라마' 강점은 실용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