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023년 2월 소비자물가동향 발표
소비자물가 4.8%, 전기·가스·수도 28.4%↑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석유류와 축산물 가격이 하락하면서 지난달 물가 상승률이 10개월 만에 4%대로 둔화했으나 전기·가스·수도요금은 통계 작성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2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0.38(2020년=100)로 1년 전보다 4.8% 올랐다. 상승률은 전월(5.2%) 대비 0.4%포인트 떨어졌다.
물가 상승세는 지난해 7월(6.3%)을 정점으로 점차 둔화하고 있다. 물가상승률이 4%대를 기록한 것은 지난해 4월(4.8%) 이후 10개월 만이다.
품목별로 보면 농축수산물은 지난해 대비 1.1% 올랐다. 농축수산물 중 축산물은 2.0% 하락했다. 축산물이 1년 전보다 내린 것은 2019년 9월(-0.7%) 이후 3년5개월 만이다.
석유류는 1.1% 하락했다. 석유류 가격이 전년 동월 대비 하락한 건 2021년 2월(-6.3%) 이후 2년 만이다.
가공식품은 10.4% 올라 전월(10.3%)보다 상승 폭을 키웠다. 2009년 4월(11.1%) 이후 최고치다.
전기·가스·수도는 28.4% 올라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0년 이후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전기료가 29.5%, 도시가스료가 36.2%, 지역 난방비가 34.0% 각각 올랐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4.8% 올랐다. 전월(5.0%)보다 상승 폭이 낮아졌다.
또 다른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는 4.0% 상승했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5.5% 올랐다.
- 1월 반도체 재고율 265%… 26년만에 최고
- "최대 50% 할인"...유통가, 주말 특가 마케팅 '총력'
- "가격 올리지마" 정부 압박에 식품기업들, 인상계획 줄줄이 철회
- 소주값 '6000원' 시대?… 정부, 주류업계 실태 조사 착수
- 950선 아래로 침몰한 글로벌 해운운임… 장기 불황 계속되나
- 물가관리가 사명인 한은 총재 "전기·가스요금 적정 수준으로 올려야"… 이유는?
- 정부 '경기 둔화' 첫 인정… 수출부진에 기업심리도 악화
- 한국조선해양, 선박엔진 3위 STX중공업 본입찰 단독참여
- 부동산 전문가 절반, 내년 집값 오른다는데… 진짜 반등할까
- 교통카드 충전하고 깜빡한 돈 537억… 5년 지나 티머니가 '꿀꺽'
- "삼겹살 반값이라더니 비계만 잔뜩"… 소비자 분노 폭발
- 소비자물가 1년 만에 최저… 체감물가 여전히 높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