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 윤종규 18억·하나 함영주 15억·신한 조용병 9억

[서울와이어 서영백 기자] 금리인상에 사상 최대 실적을 거둔 은행들이 성과급 잔치에 나서면서 지난해 윤종규 KB금융그룹 회장과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이 10억원대의 급여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8일 KB·신한·하나금융지주가 공시한 ‘지배구조 및 보수체계 연차보고서’에 따르면 윤종규 회장에게 지급된 2022년도 총 보수는 성과급 9억3000만원을 포함해 총 18억3000만원이었다. 이는 2021년(총액 17억3000만원·성과급 8억8000만원)보다 1억원 늘어난 것이다.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의 지난해 보수 총액은 15억3000만원(성과급 7억1000만원 포함)이었다.
2021년 김정태 전 하나금융그룹 회장의 보수 24억원과 비교해 약 9억원 적은 수준이다. 김 전 회장은 지난해 특별퇴직금 50억원 지급이 결의됐고 이중 일부를 수령했다.
이달 임기가 끝나는 조용병 신한금융그룹 회장은 작년 한 해 9억원의 급여를 수령했다. 조 회장의 보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은, 라임펀드 사태와 관련해 금융당국으로부터 경징계를 받은 뒤 내규에 따라 유보된 성과급을 아직 받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임직원 평균 연봉은 이익과 함께 불어난 성과급 영향으로 늘었다.
KB국민은행 임직원 평균 보수는 1억1300만원(보수총액 1조9142억원/1만6984명)으로, 전년(1억1100만원)보다 1.8% 증가했다.
우리은행 임직원은 지난해 평균 1억400만원(1조4509억원/1만3918명)을 받았다. 역시 1년 전(9800만원)과 비교해 6.1% 늘었다.
신한은행과 하나은행은 "4월 15일 이내 공시 예정"이라며 보고서에서 지난해 평균 보수를 밝히지 않았다. 하지만 이미 2021년 기준으로 각 1억620만원, 1억600만원으로 모두 1억원이 넘은 상태다.
인터넷 은행인 카카오뱅크 임직원들의 평균 연봉도 1억원을 훌쩍 웃돌았다. 작년 카카오뱅크 임직원 평균 보수는 1억4600만원으로 집계됐다. 스톡옵션 행사 차익(542억원)을 빼면 1인당 보수는 1억700만원 수준이라는 게 카카오뱅크의 설명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