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한화솔루션이 연구개발(R&D) 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신재생에너지 전문가를 글로벌 최고기술책임자(CTO)로 영입했다.
회사는 이와 관련 주력으로 삼은 태양광과 풍력 등의 분야에서 이뤄진 프로젝트 경험과 접목해 차세대 모듈 제품 개발과 재생에너지 연구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한화솔루션은 14일 다니엘 머펠드 GE리뉴어블에너지 최고기술책임자 겸 부사장을 큐셀부문 글로벌 CTO에 선임했다. GE리뉴어블에너지는 미국 GE의 에너지사업 자회사로 풍력과 수력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에 주력하고 있다.
머펠드 CTO는 미국 노터데임대에서 전기공학을 전공한 뒤 노스웨스턴대에서 전기전자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9년 GE글로벌리서치에 합류한 그는 GE파워, GE리뉴어블에너지 등에서 23년 간 몸담았다.
태양광과 풍력, 수력,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의 기술개발을 주도했다. 특히 한화솔루션에 합류하기 전에는 GE리뉴어블에너지에서 글로벌 연구개발 조직 운영을 총괄했다.
그는 앞으로 한국과 미국, 독일 등 3개국을 잇는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해 R&D 역량을 결합하고 시너지 창출에 주력할 전망이다. 당장 한국 판교와 독일 탈하임에 위치한 R&D 센터를 연결해 전사 차원에서 기술 로드맵을 강화할 계획이다.
한화솔루션 관계자는 “태양광 발전 성능을 최적화하는 MLPE 시스템과 인버터 등에 대한 연구개발 계획을 종합 관리하게 될 것”이라며 “국내 중소기업, 연구기관과 협력해 추진하는 국책 과제는 물론 독일 탈하임 연구개발센터에서 진행 중인 탠덤 셀 시험생산이 탄력받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아울러 그는 미국 현지 북미 최대 태양광 통합 생산 단지 ‘솔라 허브’ 본격 가동에 발맞춰 기술역량 강화에도 힘 쏟을 예정이다. 2026년 양산을 목표로 연구 중인 ‘페로브스카이트-결정질 실리콘 탠덤 셀(이하 탠덤 셀)’과 차세대 모듈 연구개발 로드맵도 총괄하게 된다.
머펠드 CTO는 “기후변화와 지정학적 위기에 우려가 커지면서 세계 각국에서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기술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다”며 “큐셀의 글로벌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해 미래 세대를 위한 한화만의 청정 에너지 솔루션을 선보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 한화, 바이든 前 비서실장 영입… 미국 정책 변덕에 대응
- 한화솔루션 재활용 폴리에틸렌 rPE… 글로벌기관서 '친환경' 인증 획득
- 태양광에 빛난 한화솔루션, 영업익 '1조클럽' 육박… 올해 전망은?
- 미 태양광 '원톱' 한화솔루션… 작년 신재생부문 매출 첫 '2조' 돌파
- 한화 '분할승계' 본격화… 김동관 제조·방산, 김동원 금융, 김동선 리조트·유통
- 한화솔루션, 바이오 PVC 대표기업들과 MOU… "사용량 늘려 친환경 수요 대응"
- 미 행정부 2인자 해리스 부통령, 한화 태양광사업장 찾아
- 한화솔루션, 북미 태양광사업 호조 속 1분기 영업익 85.1%↑
- 한화솔루션, '2023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ESG 활동 성과 담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