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사 지배구조 전반 개혁의지 재차 피력
은행권 내부통제 시스템 마련 필요성 강조
관치 논란, 다음정권까지 지속될 진 불투명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최근 논란이 된 금융지주사 지배구조와 이른바 금융지주 회장들의 ‘셀프연임’과 관련 “성과를 내고 납득할 수 있는 절차를 거쳐 선임된다면 4, 5연임까지 가능하다”고 말해 주목받았다.
이 원장은 지난 4일 서울 장충동 반얀트리호텔에서 열린 한경 포럼에서 이같이 밝혔다. 앞서 국내 은행 전반에 걸쳐 지속적인 지배구조 개선 노력을 주문한 그는 이 자리에서 이사회의 역할도 강조했다.
금융지주 회장들을 제대로 견제할 수 있는 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는 게 발언의 핵심이다. 이 원장은 지난 3일 대구에서 열린 DGB금융지주 ‘지배구조 선진화 금융포럼’에서도 이와 비슷한 맥락으로 “은행 이사회의 경영진에 대한 감시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유능하고 적격성을 갖춘 인재가 최고경영자(CEO)로 선임될 수 있는 경영승계 프로그램 운영 및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를 바탕으로 연임 여부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금감원도 이에 맞춰 지배구조에 대한 대대적인 개선에 나설 방침이다. 경영 환경이 급변하는 상황 속 견실한 은행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지배구조에 대한 실효성 있는 내부통제 체계를 갖출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준수 금감원 은행·중소서민금융 부원장은 전날 이와 관련 은행부문(지주포함) 주요 감독·검사 현안에 대한 기자 설명회를 개최해 “은행권 지배구조에 대한 감독·검사 방안을 마련하는 동시에 정기검사 시 실시하는 경영실태평가에 지배구조 및 내부통제 관련 평가를 강화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일각에선 이 원장과 금감원에 은행권 지배구조 개선 노력의 지속 여부에 대해선 다음 정권까지 이어질지는 미지수라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 올해의 경우도 금융지주 회장들의 잇따른 퇴진은 정권 교체 시기와 맞물린 결과라는 분석이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후임 인선 시기가 다가올수록 은행업계의 경우 CEO 선임이 정치적 외풍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현 정부는 ‘주인 없는 기업’의 형태를 보이는 금융지주에 대한 개혁 의지가 상당히 강하다”면서 “다만 이를 ‘관치’로 보는 시각도 있으며, 과도한 개입이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는 등 정권이 바뀌면 정책 자체가 다른 방향으로 흐를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