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법기관에서 결론 내기 전이라도 금감원 점검 필요
당국 의사 중요하나, 우리금융서 선제적으로 살펴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3일 대구 수성구 DGB대구은행 본점에서 열린 상생금융 확대 간담회에서 소상공인·금융 취약계층을 위한 햇살론뱅크 프로그램 등에 대한 설명을 들은 뒤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3일 대구 수성구 DGB대구은행 본점에서 열린 상생금융 확대 간담회에서 소상공인·금융 취약계층을 위한 햇살론뱅크 프로그램 등에 대한 설명을 들은 뒤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 이재형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대장동 개발사업 당시 박영수 전 특별검사의 우리은행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청탁 의혹과 관련해 "외압으로 관련 의사결정 등에 왜곡이 일어났는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특히 우리금융지주 측이 자체적으로 대장동 대출 문제를 살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3일 이 원장은 DGB대구은행 본점에서 열린 '상생 금융상생금융 확대 간담회'를 마친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박 전 특검의 우리은행 대출 청탁 관련 의혹에 대해 "금융의 본질적 기능이 심각하게 왜곡될 수 있다는 측면으로 봤을 때, 사법기관에서 결론을 내기 전이라도 금감원이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지금도 여전히 왜곡된 자금조달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람이 있는지 들여다볼 것"이라고도 했다.

금융회사의 대출 관련 의사결정에 문제가 없었는지 살펴보는 건 금감원의 역할이라는 취지다.

그는 "(새 회장 선임으로) 새롭게 출발하는 우리금융지주의 선의를 왜곡할 수 있는 중요한 이슈"라며 "당국의 의사도 중요하지만, 우리금융에서 선제적으로 봐줘야 할 게 아닌가 한다"며 우리은행 측이 먼저 자체점검에 나설 것을 주문했다.

박 전 특검은 2014년 우리은행의 대장동 컨소시엄 참여 및 PF 대출 청탁 대가로 민간업자들로부터 금품을 받기로 약속한 혐의를 받고 있다. 당시 그는 우리은행 이사회 의장으로 재직 중이었다.

지난달 30일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1부는 박 전 특검과 2016년 당시 특검보였던 양재식 변호사의 주거지 등에 대한 압수수색을 벌였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