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법기관에서 결론 내기 전이라도 금감원 점검 필요
당국 의사 중요하나, 우리금융서 선제적으로 살펴야

[서울와이어 이재형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대장동 개발사업 당시 박영수 전 특별검사의 우리은행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청탁 의혹과 관련해 "외압으로 관련 의사결정 등에 왜곡이 일어났는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특히 우리금융지주 측이 자체적으로 대장동 대출 문제를 살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3일 이 원장은 DGB대구은행 본점에서 열린 '상생 금융상생금융 확대 간담회'를 마친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박 전 특검의 우리은행 대출 청탁 관련 의혹에 대해 "금융의 본질적 기능이 심각하게 왜곡될 수 있다는 측면으로 봤을 때, 사법기관에서 결론을 내기 전이라도 금감원이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지금도 여전히 왜곡된 자금조달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람이 있는지 들여다볼 것"이라고도 했다.
금융회사의 대출 관련 의사결정에 문제가 없었는지 살펴보는 건 금감원의 역할이라는 취지다.
그는 "(새 회장 선임으로) 새롭게 출발하는 우리금융지주의 선의를 왜곡할 수 있는 중요한 이슈"라며 "당국의 의사도 중요하지만, 우리금융에서 선제적으로 봐줘야 할 게 아닌가 한다"며 우리은행 측이 먼저 자체점검에 나설 것을 주문했다.
박 전 특검은 2014년 우리은행의 대장동 컨소시엄 참여 및 PF 대출 청탁 대가로 민간업자들로부터 금품을 받기로 약속한 혐의를 받고 있다. 당시 그는 우리은행 이사회 의장으로 재직 중이었다.
지난달 30일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1부는 박 전 특검과 2016년 당시 특검보였던 양재식 변호사의 주거지 등에 대한 압수수색을 벌였다.
- 민주당 권리당원들의 '반란?'… 679명 '이재명 직무정지' 소송 제기
- 검찰, '대장동 4895억 배임·성남FC 133억 뇌물' 이재명 기소
- 이재명 대장동 수사 1년6개월 … 검찰, 이번주 '기소 전망'
- 김만배, 대장동 340억 은닉…석방 86일만 재구속
- 검찰, ‘대장동 4895억 배임’ 이재명 대표 구속영장 청구
- 박영수 딸, 화천대유 아파트 분양받았다…"특혜논란"
- SK매직 "고객 수면건강에 초점"… 하반기 '신개념 매트리스' 출시 목표
- 이복현, 금융지주 회장 "잘하면 5연임도 가능"… 정권 바뀌면 도루묵인데?
- 이복현 금감원장 "악성루머, 금융시장 교란 행위에 관계기관과 총력 대응"
- 대구은행은 시중은행하는데 부산은행은 안된다… 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