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보증 선 한천채 수요 집중, 올 1분기 8조 돌파
회사채는 메말라, 시중 투자금 대부분 한전이 '흡수'
시장 불안감 확산, "정부, 전기료 인상 결단 내려야"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한국전력(한전)의 회사채(한전채) 발행 규모가 1분기 만에 8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39조6200억원(72%) 증가했다.
앞서 전기요금 인상이 수 차례 지체됨에 따라 발행량이 급증했고, 이는 채권시장 불안을 키우는 상황이다.
6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한전은 적자를 메우기 위한 임시방편으로 회사채 발행량을 대폭 늘리고 있다. 채권 발행이 이어지면서 한전채 발행 잔액은 이달 기준 68조5600억원까지 불었다.
지난해부터 한전은 글로벌 에너지가격 상승 영향에 적자를 겪고 있으며, 발전사에서 구매하는 전기와 관련 대금 지급까지 밀릴 수 있는 상황에 놓였다. 실제 증권가에선 한전의 올해 적자규모가 30조원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한전채 발행을 통해 필요한 자금 조달에 나섰다. 이 회사가 발행하는 회사채는 정부가 보증을 선 우량채권이다. 시장에 수요가 이어지면서 당초 계획했던 발행량을 초과하는 등 금융시장 전반엔 불안감이 빠르게 확산 중이다.
회사채로 가야 할 채권시장 유동성을 한전이 잠식하면서다. 신용등급이 높은 한전채로 수요가 몰리면서 사실상 일반 기업의 회사채에 대한 수요는 메말랐다. 시중 투자금을 모두 빨아 들이는 것과 관련 기업들에 우려가 커지는 모습이다.
또 다시 여러 기업들이 사업 추진 관련한 자금 조달에 차질을 빚는 이른바 '돈맥경화' 현상이 재발될 것 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당장 전기료 인상이 이런 문제를 해결할 대안으로 꼽히지만, 정부는 여론의 눈치만 보고 있다.
성급한 인상 결정은 상승한 물가로 고통을 겪는 국민들에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목소리도 높은 가운데 당장 정부는 이날 국민의힘과 ‘전기·가스 요금 관련 민당정 간담회’를 열고 실질적은 해소 방안 마련에 나섰다.
정승일 한전 사장도 이 자리에 참석해 전기요금 인상 지연으로 한전채 발행 확대 우려에 대해서 언급하며 “금융시장 경색을 가져오거나 다른 회사채 발행에 우려가 있다는 것은 사실”이라며 “한전채 발행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는 지적이 있지만, 이는 노력만으로 되는 것이 아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 사장은 “전체적으로 요금 정상화 시기와 폭이 연계돼 다른 자금 조달 수단이 뭐가 있는지, 추가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를 설명 드렸다”고 덧붙였다. 당장 한전은 2026년까지 14조원 규모의 자구 노력을 강도 높게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업계에선 자구책보단 전기료 인상이 선행돼야 한전의 적자 문제 등을 쉽게 풀어갈 수 있다고 본다. 관련 업계 관계자는 “에너지 공기업 자체적인 구조조정도 시급하지만, 전기료 인상이야말로 근본적 해결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련재 국내 자금시장을 뒤흔드는데 요금 정상화를 더 미루는 것은 국민도 혼랍스럽게 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민긴 기업들에 피해는 물론 생존까지 위협할 수 있다. 미래엔 국민에게도 한전의 눈덩이처럼 불어난 적자가 세금폭탄으로 전가될 수 있다는 점에 요금 인상에 조속한 결단이 필요하다”고 했다.
- 미 정부, 이번엔 국내 원전 수출에 제동… 무엇이 문제?
- 여론악화에 전기, 가스 요금인상 보류… 한전·가스공사 적자 어쩌나
- 2분기 전기·가스료 인상 또 연기… "시기와 폭 추가 논의 필요"
- [메타센서] 2분기 전기·가스요금, "인상이냐? 동결이냐?"
- [기자수첩] 지금이 전기료 인상할 '마지막 기회'
- 한전·가스공사 "국민 눈높이와 기준 맞춘 자구책 추가 강구할 것"
- 전기료 인상 시점 또 밀리나… 당정, 결론 도출 못해
- 정승일 한전 사장 윤대통령 방미 사절단서 쏙빠졌다… 왜?
- 이창양 산업장관, 전기·가스 요금 "조만간 마무리"… 곧 인상 결행할 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