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건설이 국내현장 안전보건 업무시스템 스마티를 오픈했다. 사진=대우건설 제공
대우건설이 국내현장 안전보건 업무시스템 스마티를 오픈했다. 사진=대우건설 제공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대우건설은 모바일·웹 기반 국내현장 안전보건 업무시스템인 스마티(SMARTY)를 오픈했다고 6일 밝혔다.

스마티는 현장에서 발생 가능한 위험을 예측하고 작업자간 실시간 ‘소통’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다. 기존 현장 안전관리 업무는 문서를 활용한 보고 등 서류 작성에 많은 시간이 소모되는 등 불편함이 많았다.

하지만 스마티를 통해 오프라인 기반 업무를 디지털화해서 업무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안전·보건 데이터 베이스(DB) 구축으로 향후 사례 연구 및 다양한 교육자료로 활용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통상 건설현장의 안전사고는 끼임·떨어짐·맞음·무너짐·부딪힘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이와 같은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적극적인 의사소통이 필수적이다.

떨어짐의 경우 근로자들끼리 서로 안전걸이를 꼼꼼하게 잘 확인하고 관리자들이 안전수칙을 재삼 상기시켜준다면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자재 운반 차량·건설기계와 작업자의 충돌 문제도 차량·기계 등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공유해 사고를 막을 수 있다.

스마티는 건설현장 내의 실시간 소통 및 빠른 의사결정에 주안점을 뒀다. 스마티에 내재된 수시·일일 위험성 평가를 통해 관리자들은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측하고 현장 근로자들이 적절한 조치를 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근로자들도 공사 중 위험이 예상되면 모바일 앱을 통해 작업 중지권을 행사할 수 있다. 또 소통의 효과를 더욱 극대화하기 위해 스마티는 카톡과 유사한 소통문자를 도입했다. 현장의 전 직원이 참여 가능한 ‘소통문자’는 신속한 정보 공유를 통해 안전 사고 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앞으로 스마티를 기반으로 안전·보건 DB가 축적돼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분석 등을 통해 안전사고 예방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외국인 현장 근로자들을 위해 15개의 외국어 번역 시스템을 지원하는 등 전직원이 안전관리 업무에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