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동 개발사업 공모 참여사 대상, 증거물 확보 나서
산은 컨소시엄 관련 경쟁사 하나은행 이탈 압박 정황
곽상도 전 의원·아들 병채씨 피의자 신분 소환 예상돼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검찰이 이른바 '50억 클럽' 의혹을 재수사하는 과정에서 곽상도 전 의원과 그의 아들에 범죄 수익 은닉 등 혐의 관련해 강제 수사 절차에 착수했다.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3부(강백신 부장검사)는 11일 오전 호반건설과 부국증권, 관계자 사무실 등 10여곳에 검사와 수사관을 파견해 대장동 개발 사업자 공모에 참여한 산업은행 컨소시엄 관련 자료 확보에 나섰다.
앞서 검찰은 산업은행 컨소시엄 측이 경쟁자인 ‘성남의뜰’ 컨소시엄에서 하나은행 이탈을 압박한 추가 정황을 파악한 것으로 전해졌으며, 증거물 확보 차원에서 압수수색을 결정했다.
성남의뜰 컨소시엄엔 화천대유자산관리(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씨가 참여하고 있었다.
특히 경쟁 과정에서 호반건설은 하나은행에 당시 김정태 하나금융지주회장과 친분이 있는 곽 전 의원을 통해 성남의뜰 컨소시엄을 나가지 않도록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수사팀은 이와 함께 호반건설이 해당 컨소시엄을 무산시키고 새롭게 컨소시엄을 구성하자고 제안한 것으로 봤다. 결과적으로 그 대가로 곽 전 의원 아들인 병채씨에게 퇴직금 등의 명목으로 50억원이 뇌물 성격으로 전해졌다는 판단이다.
검찰은 이와 관련 아들 곽씨를 특정범죄가중처벌법의 뇌물 수수 혐의를 적용해 피의자로 입건했다. 다만 곽 전 의원은 혐의 자체가 적용된 것과 이번 압수수색에 대해서 전혀 인지하지 못했다는 입장이다.
아울러 곽 전 의원 측은 “아들에 대한 압수수색이 되는 것처럼 오해될 수 있는 내용이 공지된 것에 유감”이라고 밝혔댜.
검찰은 압수물 등을 분석한 뒤 산업은행 컨소시엄 관련자들을 차례로 소환해 하나은행 회유 경위와 새로운 컨소시엄을 꾸린 이유 등을 집중 조사할 방침이다.
곽 전 의원 부자도 조만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될 것으로 보인다. 병채씨는 대장동 의혹 초반 이미 뇌물 혐의 공범으로 고발된 바 있다. 당시 그는 피의자 조사를 받았으나 1차 수사 당시엔 기소되지 않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