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사, 기존 자동차 강판 공급 외 사업분야 확대
양·음극재·리사이클링 등 포괄적 협력 의기투합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왼쪽)이 지난 11일 서울 포스코센터에서 일본 완성차기업 혼다와 전기차사업에 대한 포괄적 양해각서를 맺고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포스코 제공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왼쪽)이 지난 11일 서울 포스코센터에서 일본 완성차기업 혼다와 전기차사업에 대한 포괄적 양해각서를 맺고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포스코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포스코그룹과 일본 완성차기업 혼다가 전기차 사업분야에서 포괄적인 협력 체계 구축을 위해 손잡았다.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는 해외 전기차시장 공략에 양사의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진 것으로 보인다. 

12일 포스코그룹에 따르면 혼다는 서울 포스코센터에서 최정우 회장, 미베 토시히로 혼다 사장을 포함한 양사 주요 경영진이 참석한 가운데 ‘전기차사업에 대한 포괄적인 양해각서’(MOU)를 회사와 체결했다. 

양사는 고성장 중인 글로벌 전기차시장 수요에 공동 대응하는 등 적극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 업계에서는 글로벌 전기차 수요는 올해 1357만대 수준에서 2030년엔 약 5900만대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포스코와 혼다는 기존 철강부문에서의 협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이차전지소재 부문에서도 ▲양·음극재 ▲전고체전지용소재 ▲리사이클링 등의 분야에서 새롭게 협력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당장 이차전지소재 부문에서 ·음극재 공급 등 협력을 검토 중이며, 전고체전지용소재는 사업과 기술분야에서 주기적인 교류회 등을 통한 기술개발에 나선다는 구상이다.

리사이클링 역시 혼다의 전기차 비즈니스 및 포스코 글로벌 리사이클링사업과 연계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철강부문에서도 자동차강판 공급뿐아니라 탄소중립을 위한 친환경 강판, 전기차용 구동모터코아 및 모터용 무방향성 전기강판 적용 확대에 대한 논의를 나누기로 했디.

또 분야별 실무단을 꾸려 철강 및 이차전지소재사업 해외 확장을 위한 정기 교류회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특히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유럽 핵심원자재법(CRMA) 등 글로벌 전기차 공급망 문제 등에도 그룹의 리튬·니켈, 양·음극재, 리사이클링 등 이차전지소재 사업 역량과 혼다의 중장기 글로벌 전기차사업 확장 전략을 바탕으로 공동 대응체계를 구축하는 데 뜻을 모았다. 

최정우 회장은 이날 파트너십을 이차전지소재 분야로 확대한 것과 관련 “포스코의 이차전지소재 풀 벨류체인(Full Value Chain) 전략과 혼다의 전기차 확장전략에 상호 간 윈-윈(Win-win)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혼다 미베 사장은 “모든 제품군에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실현할 것”이라며 “이차전지소재, 리사이클링, 자동차강판 및 무방향성 전기강판, 전기차용 부품까지 폭넓은 영역에서 역량과 노하우를 보유한 포스코그룹과 파트너십 확대 통해 목표를 달성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