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질 일자리 부족 등 청년 취업자 전년비 '9만명' 감소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청년층(15~29세) 취업자가 지난달 1년 전보다 9만명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일자리를 구한 청년층 대부분은 고용이 불안정한 임시·일용직에 집중되는 등 양질의 일자리 부족 현상이 심화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16일 통계청 경제활동인구 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지난달 전체 청년층 취업자는 390만7000명으로 1년 전보다 8만9000명 감소했다. 지난해 11월부터 5개월 연속 전년동월 대비 감소세가 이어졌다.
모든 연령을 포함한 전체 취업자가 46만9000명 늘어난 것과는 정반대 상황이다. 특히 청년 취업자를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지난달 상용직 청년 취업자는 1년 전보다 4만명 이상 줄었다.
이 기간 임시·일용직 청년 취업자는 2만명 넘게 증가했다. 이에 지난달 청년층 임시근로자는 106만8000명으로 집계됐다. 임시근로자는 고용계약 기간이 1개월 이상 1년 미만이거나 고용계약 없이 단기적으로 고용된 취업자를 의미한다.
청년층 고용 불안 현상이 여전하다는 점이 확인된 셈이다. 산업별로는 숙박·음식점업에서 아르바이트 성격의 임시·일용직 청년 취업자가 크게 늘었으며, 청년 자영업자 수도 대폭 감소했다.
특히 상용직 청년 취업자 감소는 제조업(-4만명)과 도소매업(-3만8000명)과 운수·창고업에 종사하는 청년 자영업자의 경우 1만2000명으로 지난해 3월 2만7000명 대비 1만5000명 절반가량 줄어드는 등 가장 두드러졌다.
업황의 변화로 수입이 감소하고, 이에 기존 일자리 이탈 현상이 가속화된 탓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출퇴근 시간이 비교적 명확한 정규직보단 비정규직을 선호하는 20대 청년층 성향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일각에선 청년층 취업자 감소를 인구 감소(-18만1000명) 기저효과에 기인한 측면이 있다고 해석한다. 청년층 고용률이 46.2%로 1년 전보다 0.1%포인트 낮아졌으나, 3월 기준으로는 역대 2위로 예년에 비하면 높은 수준을 유지했기 때문이다.
- 원희룡 국토부 장관 "제2 경인고속도로 재개통, 국민불편 해소될 것"
- 삼성전자 신제품 6개 모델, 영국 기관으로부터 '탄소저감' 인증 획득
- 중국, 황사 몽골서 생기는데 왜 "중국발?" 발끈
- 독일은 '스톱' 프랑스·영국은 '고'… 원전 두고 엇갈린 유럽
- 장수농협 "킹크랩 사와" 사실로… '괴롭힘'이 직원 극단적 선택 내몰아
- 봄 시즌 절정인데 미친 날씨… 강원 산간 대설주의보, 부산엔 우박 세례
-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 배당금, 2년간 3120억원… 최태원·정의선보다 많다
- 10대 여학생, 강남 고층건물서 라이브 방송 켠 채 극단적 선택
- 올 5월 취업자 수, 증가폭 둔화… 고용률은 역대 '최대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