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3조원' 식품기업 8곳 중 6곳 영업이익 증가
"가격인하로 소비자와 어려움 헤쳐나가야 할 것"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국제 곡물 등 원재료값 인상을 이유로 줄줄이 가격을 올렸던 식품업체들이 최근 원자재값 하락세를 반영하지 않아 소비자들의 원성이 높다.
가격 인상은 기업 생존을 위해 불가피했다는 게 당시 설명이다. 소비자들 사이에선 “원자재 가격이 올랐을 때 가격을 인상했던 것처럼 원자재값이 떨어지면 제품 가격을 낮춰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23일 증권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와 각사 집계를 보면 매출 3조원 이상 식품 상장기업 8곳 중 6곳은 1년 전보다 영업이익이 증가했고 이 중 3곳은 30% 이상 늘었다.
반면 식품 원재료 품목은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3월 기준 유엔 식량농업기구(FAO)가 발표한 세계식량가격지수는 126.9로 2월 129.7보다 2.1% 감소했다. 지난해 3월 159.7로 최대치를 기록한 뒤 12개월 연속 하락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곡물과 유지류 가격이 크게 하락했다. 밀은 1년 전보다 40% 이상, 옥수수와 대두 등도 20%가량 내렸으나 한번 오른 식품 가격은 내리지 않았다.
이에 소비자단체를 중심으로 가격 인상 원인이 해결되는 상황에서 식품업체들은 가격 인상을 멈춰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소비자단체협의회 관계자는 “식품기업이 가격을 올릴 때마다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던 원자재가격이 안정화되고 있다”며 “가격 동결 결정을 확대·연장하고 가격 인하로 소비자와 함께 어려움을 헤쳐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 최고가 찍은 '설탕값'… 하반기 식품가격 인상 파도 또 덮치나
- 곡물가격 폭등으로 치솟은 식품가격… 이번엔 '슈거플레이션' 습격
- 해외서 잘나가는 오리온, 시총 5조원 돌파… 식품업 1위 굳히나
- "가격 올리지마" 정부 압박에 식품기업들, 인상계획 줄줄이 철회
- 식품업계 3조 클럽 '4곳→8곳' 늘었는데… 최대 매출에도 '속앓이' 왜?
- 추경호 "물가안정 위해 지방 공공요금 재정 인센티브 강화"
- 식품업계, 정부 자제 요청에도 아랑곳 않고 '가격 인상'
- 롯데건설·광진구, 취약계층 주거환경 개선 위한 협약 체결
- 민주당 소속 부천시 의원, '성추행' 파문… 경찰, 당시 CCTV 영상 확보
- 롯데웰푸드, '립파이 초코' 8년 만에 재출시… "소비자 요청에 화답"
- "짝퉁 불닭면·다시다 만들더니"… 中업체들 6500만원 '철퇴'
- 라면·과자·빵 내렸는데… 소비자단체 "아이스크림도 내려야"
김익태 기자
177dlrxo@seoulwire.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