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산업 발전 TF' 회의 주재
5000억 K콘텐츠 투자펀드 조성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5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서비스 산업 발전 TF 전체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5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서비스 산업 발전 TF 전체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정부가 2027년까지 서비스 수출액 2000억달러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서비스산업 발전 태스크포스(TF) 회의 모두발언에서 “부가가치와 고용 창출 효과가 큰 서비스 산업을 내수 위주에서 수출 산업으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추 부총리는 “그간 서비스 산업은 내수 산업으로 성장하면서 우리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60%대로 확대돼 왔다”며 “다만 수출 비중은 30여년간 15% 내외에서 정체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서비스 산업을 수출 산업으로 육성해 서비스 수출을 2027년 2000억달러까지 확대하고 세계 10위의 서비스업 수출 강국으로 도약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서비스업과 제조업간 격차를 해소하고 서비스 친화적 제도를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코트라,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등 수출 지원 기관의 서비스업 지원 규모를 2027년까지 50% 이상 확대하고 서비스 분야에 향후 5년간 64조원 규모의 수출 금융을 공급하기로 했다. 또 중소·중견기업들의 해외시장 개척을 돕기 위해 전문 무역상사를 활성화한다.

추 부총리는 콘텐츠·관광 분야와 보건·의료분야, 디지털 분야 수출 활성화 추진 방안도 밝혔다.

내년까지 K-콘텐츠 투자펀드를 5000억원 수준으로 확대 조성하고 외국인 관광객의 사후 면세 최소거래액 기준을 1회 3만원에서 1만500원으로 완화하기로 했다.

아울러 대형종합병원의 환자 유치 비자 절차를 간소화하고 소프트웨어나 인공지능(AI) 서비스 등 유망 수출 품목에 대한 지원도 강화할 예정이다.

추 부총리는 “우리 서비스산업의 근본적인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서비스산업 발전 기본법 입법도 조속히 추진하겠다”며 “‘서비스 산업 혁신 전략’도 연내 수립해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