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산업 발전 TF' 회의 주재
5000억 K콘텐츠 투자펀드 조성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정부가 2027년까지 서비스 수출액 2000억달러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서비스산업 발전 태스크포스(TF) 회의 모두발언에서 “부가가치와 고용 창출 효과가 큰 서비스 산업을 내수 위주에서 수출 산업으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추 부총리는 “그간 서비스 산업은 내수 산업으로 성장하면서 우리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60%대로 확대돼 왔다”며 “다만 수출 비중은 30여년간 15% 내외에서 정체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서비스 산업을 수출 산업으로 육성해 서비스 수출을 2027년 2000억달러까지 확대하고 세계 10위의 서비스업 수출 강국으로 도약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서비스업과 제조업간 격차를 해소하고 서비스 친화적 제도를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코트라,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등 수출 지원 기관의 서비스업 지원 규모를 2027년까지 50% 이상 확대하고 서비스 분야에 향후 5년간 64조원 규모의 수출 금융을 공급하기로 했다. 또 중소·중견기업들의 해외시장 개척을 돕기 위해 전문 무역상사를 활성화한다.
추 부총리는 콘텐츠·관광 분야와 보건·의료분야, 디지털 분야 수출 활성화 추진 방안도 밝혔다.
내년까지 K-콘텐츠 투자펀드를 5000억원 수준으로 확대 조성하고 외국인 관광객의 사후 면세 최소거래액 기준을 1회 3만원에서 1만500원으로 완화하기로 했다.
아울러 대형종합병원의 환자 유치 비자 절차를 간소화하고 소프트웨어나 인공지능(AI) 서비스 등 유망 수출 품목에 대한 지원도 강화할 예정이다.
추 부총리는 “우리 서비스산업의 근본적인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서비스산업 발전 기본법 입법도 조속히 추진하겠다”며 “‘서비스 산업 혁신 전략’도 연내 수립해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 추경호 "세수상황 더 안 좋아질 수 있다… 추경 검토는 안해"
- 추경호 "바이오, 제2의 반도체로 키우겠다"… 육성계획 조만간 발표
- 추경호 "美관계 강화, 中외면 아냐… 탈중국 없다"
- 추경호, G7 재무장관회의서 "선진국은 개도국에 발전 경험 전수해야"
- 기자실 찾은 尹대통령, "이런자리 자주 만들거냐" 질문에 "하여튼 노력하겠다"
- 휘발유값 3주 연속 상승, 서울 휘발유 평균가 1744.0원...경유는 2주째↑
- "한일 협력으로 국내 '소부장' 경쟁력 키운다"… 정부, 올해 R&D에 '2.3조' 투자
- 이달 말 종료 '유류세 인하' 오는 8월까지 추가 연장
- 추경호 "민생 부담 고려… 유류세 인하 조치 연장 전향적으로 검토"
- '한일 재무장관 회의' 7년 만에 인천 송도서 재개… 현안은?
- 한종희 부회장 "삼성전자, 글로벌 가전경쟁서 유리한 포지션"
- 추경호 "다음달 중 2%대 물가 진입 예상… 라면 가격 내려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