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밀 가격 50% 낮아져… 소비자단체 압력 행사해야"
"전세 50% 역전세 노출, 차액 한해 임대인 대출규제 완화"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공공기관 운영위원회에 참석해 2022년 공공기관 경영실적 평가 지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공공기관 운영위원회에 참석해 2022년 공공기관 경영실적 평가 지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정부가 6~7월 중에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대로 내려갈 것으로 전망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8일 KBS 일요진단에 출연해 “물가가 전반적인 수준에서 서서히 안정을 찾고 있다”며 “이달이나 다음 달에는 2%대 물가에 진입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밝혔다.

추 부총리는 라면값 인상의 적정성 문제가 지적되자 “지난해 9~10월에 (기업들이) 많이 인상했는데 현재 국제 밀 가격이 그때보다 50% 안팎 내렸다” “기업들이 밀 가격 내린 부분에 맞춰 적정하게 내렸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가 하나하나 원가를 조사하고 가격을 통제할 수는 없다”며 “이 문제는 소비자 단체가 압력을 행사하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전기·가스요금 등 에너지 요금에 대해선 “현재 국제 에너지 가격이 하향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며 “단기적으로 적자 부분을 좀 해소하겠지만 적자를 해소하는 과정은 수년간에 걸쳐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역전세 문제와 관련해선 “약 50%, 100조원 상당이 역전세 위험에 노출된 것으로 본다”며 “집주인이 전세 차액을 반환하는 부분에 한해 대출규제를 완화해 집주인이 자금을 융통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다음 세입자가 선순위 대출에 걸리지 않도록 집주인이 전세 반환보증을 받도록 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관계부처가 세부 대책을 막바지로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추 부총리는 경색된 중국과의 관계에 대해선 “싱하이밍 주한중국대사의 발언은 유감이지만 중국은 한국의 제1 경제·교역 파트너”라면서 “중국과 협력은 앞으로도 지속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