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명 중 1명은 75세 이상
고령인구비중 OECD 1위

약 50년 뒤 한국 인구의 30%가 75세 이상 노인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 회원국 가운데 고령 인구 비중이 가장 높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사진=픽사베이
약 50년 뒤 한국 인구의 30%가 75세 이상 노인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 회원국 가운데 고령 인구 비중이 가장 높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사진=픽사베이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약 50년 뒤 한국 인구의 30%가 75세 이상 노인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 회원국 가운데 고령 인구 비중이 가장 높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6일 통계청은 이런 내용을 담은 ‘고령자의 특성과 의식 변화’를 발표했다. 통계청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인구 가운데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올해 18.4%로 예상된다.

이 중 75세 이상 인구 비중은 7.7%로 65~74세(10.7%)보다 작다. OECD 주요 회원국과 비교하면 일본(17.0%), 이탈리아(12.7%), 영국(9.6%), 미국(7.4%) 등보다 낮은 수준으로 파악된다.

하지만 이후 75세 이상 인구 비중이 점점 늘어나며 2037년에 16.0%로 65~74세 비중(15.9%)을 웃돈 뒤 2070년에는 30.7%가 될 것으로 예측됐다. 50년 뒤에는 우리나라 인구 10명 중 3명이 75세 이상 노인이 된다는 뜻이다.

이는 일본(25.6%), 스페인(24.8%), 이탈리아(24.1%), 폴란드(22.6%), 미국(16.0%) 등 OECD 주요 회원국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이다. 또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2037년 31.9%, 2070년 46.4%가 될 것으로 예측됐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