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시간 연 1915시간·주평균 38.3시간

아침 지하철을 이용하는 시민들이 발길을 재촉하고 있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아침 지하철을 이용하는 시민들이 발길을 재촉하고 있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정부가 노동시간 제도 개편안을 보완하는 가운데 우리나라 노동시간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중남미 국가를 제외하면 가장 길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3일 국회 예산정책처가 공개한 경제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기준 한국의 노동시간은 1915시간으로 OECD 36개국 중 4번째로 많다.

한국보다 노동시간이 긴 국가는 멕시코(2128시간), 코스타리카(2073시간), 칠레(1916시간) 등 3개국으로 모두 중남미 국가들이다. OECD 평균은 1716시간이다.

정책처는 한국과 OECD 평균 노동시간 격차는 2008년 440시간에서 2021년 199시간으로 줄었으나 여전히 격차가 크다고 지적했다.

2021년 기준 한국의 연간 노동시간이 OECD 평균 수준이 되려면 주 평균 노동시간을 3.8시간 줄여야 하는 것으로 계산됐다.

우리나라 근로자들의 주 평균 노동시간은 1980년 53.9시간에서 지난해 38.3시간으로 29% 감소했다. 특히 ‘주 52시간제’가 시작된 2018년 이후 노동시간은 연평균 2.2% 감소했다.

다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여파가 줄어든 올해부터는 노동시간의 감소 폭이 둔화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코로나19로 움츠러들었던 생산과 소비 활동이 살아나면 제조업, 서비스업 등 분야를 가리지 않고 노동력 투입이 더 많아질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고용노동부는 지난달 6일 주 52시간제의 기본 틀은 유지하되 연장근로 단위를 ‘주’ 외에 ‘월·분기·반기·연’으로도 유연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노동시간 제도 개편안을 발표했다.

하지만 ‘장시간 노동’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노동부는 윤석열 대통령의 지시를 받고 개편안을 보완하고 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