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복·유아복 9.6%, 캐주얼 의류 6.9% 상승

봄나들이 나온 시민이 셀카를 찍고 있다.
봄나들이 나온 시민이 셀카를 찍고 있다.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거리두기 해제로 외부 활동이 늘자 지난달 의류·신발 물가가 1년 전보다 6% 넘게 올라 11년여 만에 가장 높게 상승했다.

23일 통계청의 지출목적별 소비자물가지수에 따르면 지난달 의류·신발 물가는 1년 전보다 6.1% 올랐다. 이는 2011년 11월(6.3%) 이후 11년4개월 만에 최고치다.

의류·신발 물가는 2018년 4월(2.3%) 이후 0~1%대의 낮은 상승률을 보이다 단계적 일상 회복이 시작된 2021년 11월(1.4%)부터 상승 곡선을 그렸다. 거리두기가 해제된 뒤 지난달 5월엔 3%대, 지난해 11월엔 5%대 상승률을 보였는데 지난달엔 6%대까지 치솟은 것이다.

품목별로는 아동복·유아복이 9.6%, 캐주얼 의류가 6.9%로 상승률이 높았다. 여자 의류 물가는 5.4%, 남자 의류는 3.6% 올랐다. 기타 의류와 의류 장신구는 3.8% 뛰었다. 의류 세탁과 수선, 임차 물가도 12.2% 상승했다. 신발 물가 상승률은 5.9%였다.

의류·신발 물가가 오른 이유는 코로나19 기간 위축됐던 야외 활동을 즐기는 이들이 늘어나면서 의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통계청에 따르면 의복 소매판매액지수(계절조정)는 지난해 12월(13.5%)부터 올해 1월(2.2%), 2월(8.0%)까지 3개월 연속 전월 대비 상승했다. 전년 동월 대비(불변지수) 상승률은 지난해 12월 1.8%, 올해 1월 2.8%, 2월 12.8% 등이다.

한편 전체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지난달 4.2%를 기록해 1년 만에 가장 낮았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