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복·유아복 9.6%, 캐주얼 의류 6.9% 상승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거리두기 해제로 외부 활동이 늘자 지난달 의류·신발 물가가 1년 전보다 6% 넘게 올라 11년여 만에 가장 높게 상승했다.
23일 통계청의 지출목적별 소비자물가지수에 따르면 지난달 의류·신발 물가는 1년 전보다 6.1% 올랐다. 이는 2011년 11월(6.3%) 이후 11년4개월 만에 최고치다.
의류·신발 물가는 2018년 4월(2.3%) 이후 0~1%대의 낮은 상승률을 보이다 단계적 일상 회복이 시작된 2021년 11월(1.4%)부터 상승 곡선을 그렸다. 거리두기가 해제된 뒤 지난달 5월엔 3%대, 지난해 11월엔 5%대 상승률을 보였는데 지난달엔 6%대까지 치솟은 것이다.
품목별로는 아동복·유아복이 9.6%, 캐주얼 의류가 6.9%로 상승률이 높았다. 여자 의류 물가는 5.4%, 남자 의류는 3.6% 올랐다. 기타 의류와 의류 장신구는 3.8% 뛰었다. 의류 세탁과 수선, 임차 물가도 12.2% 상승했다. 신발 물가 상승률은 5.9%였다.
의류·신발 물가가 오른 이유는 코로나19 기간 위축됐던 야외 활동을 즐기는 이들이 늘어나면서 의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통계청에 따르면 의복 소매판매액지수(계절조정)는 지난해 12월(13.5%)부터 올해 1월(2.2%), 2월(8.0%)까지 3개월 연속 전월 대비 상승했다. 전년 동월 대비(불변지수) 상승률은 지난해 12월 1.8%, 올해 1월 2.8%, 2월 12.8% 등이다.
한편 전체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지난달 4.2%를 기록해 1년 만에 가장 낮았다.
- '갭투기' 전국 최다지역 서울 강서구… 2위는 충북 청주
- 한국 노동시간, 중남미 제외 OECD 최장… 평균과 199시간 차이
- 송영길, 오늘 밤 파리서 기자회견...귀국 시점 관심
- 삼성 GSAT 온라인으로 치러져···반도체 용어도 출제
- 54번째 지구의 날...각국서 기후변화 대응 촉구
- 尹 대통령, 오만 청해부대 수단 인근 해역으로 급파
- 추경호 "경기 흐름 불확실성 여전… 하반기부터 호전될 것"
- 다방, '전국민 필수템, 다들 다방 할 수밖에!' 이벤트 진행
- 한은, 경기침체·부동산 급락에 '굴복'...기준금리 연 3.50%로 동결
- '정보지' 궁금하다고 파일 클릭했다간 정보유출… 北 해커, 악성코드 유포
- 전 세계 7000만명 동시시청 '롤드컵' 결승전, 서울 고척돔서 열린다
- "아무도 모르겠지"… 마약 든 가방 찾으러 지구대 방문한 60대 입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