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서구 갭투기 거래 70%, 화곡동에 몰려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갭투기’에 따른 전세금 피해사례가 전국에서 속출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3년간 전국에서 가장 많은 갭투기가 발생한 지역은 서울 강서구로 나타났다.
23일 정의당 심상정 의원실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주택자금 조달계획서(2020년~지난해 8월)를 보면 이 기간 주택 매매 가격 대비 세입자 임대보증금 비중(전세가율)이 80%를 넘는 갭투기 거래는 모두 12만1553건 체결됐다.
시군구별로 나눠보면 서울 강서구가 같은 기간 5910건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이어 충북 청주 5390건, 경기 부천 4644건, 경기 고양 3959건, 경기 평택 3857건 등 순이다.
강서구의 경우 5910건 중 74%인 4373건이 화곡동에 집중됐다. 화곡동은 부동산 컨설팅업체 일당이 바지 집주인을 내세워 빌라 수백채를 매수한 후 보증금을 빼돌린 ‘강서구 빌라왕’ 사건이 발생한 곳이다.
갭투기 거래가 연립 다세대 주택 등 주로 저가형 주택에서 이뤄진 점도 불안한 부분이다. 이 기간 갭투기 거래의 평균 매수가는 2억5000여만원으로 집계됐다. 전체의 71%인 8만7000여건의 거래가 3억원 미만 주택에서 이뤄졌다.
주택 유형으로 살펴봐도 서울 연립 다세대 주택은 2만8450건(23.4%), 경기·인천 연립 다세대 주택은 2만8439건(23.4%)이 거래돼 갭투기의 절반 가까이가 수도권 연립 다세대 주택에서 이뤄진 것으로 파악됐다.
빌라, 오피스텔 등 연립다세대 주택은 임대 목적의 거래가 많다 보니 전세가율이 매우 높게 형성돼 있다. 특히 최근처럼 집값 하락 국면을 만나면 전세가가 매매가를 추월하는 역전세 현상이 발생, 임차인에게 피해가 돌아갈 가능성이 커진다.
전세금 피해 문제가 아파트까지 번질 가능성도 있다. 전체 갭투기 거래의 29.6%(3만5886건)는 수도권 아파트에서 이뤄졌는데 그중 2만9986건이 경기·인천지역 아파트에 쏠려 있다. 아파트 가격도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 만큼 현 추세가 이어질 경우 전세금 반환에 관한 갈등이 사회 전반으로 확대될 수 있다.
- 한국 노동시간, 중남미 제외 OECD 최장… 평균과 199시간 차이
- 경주 외동읍 지역사회보장협의체, 특화사업 ‘독거 어르신 생신잔치’
- 송영길, 오늘 밤 파리서 기자회견...귀국 시점 관심
- 삼성 GSAT 온라인으로 치러져···반도체 용어도 출제
- 인천 '7000만원 전세사기' 피해자 극단선택… "더 못버티겠다" 유서
- 한 때 잘나갔는데, 왜 계약했을까… 찾는이 없는 '눈물의 오피스텔'
- '빌라왕'이 휘저은 수도권, 보증보험 과태로 부과는 고작 28건
- HUG, 지난달 대신 갚은 전세금 1692억원… 1년 만에 3배 급증
- 원희룡 "전세사기, 일벌백계할 것… 악성 중개사는 반드시 처벌"
- 경찰 '1139채 빌라왕' 공범 11명 추가 입건… 진상 밝혀지나
- 야외활동 늘자 지난달 의류·신발 6.1%↑… 11년 만에 '최고'
- '정보지' 궁금하다고 파일 클릭했다간 정보유출… 北 해커, 악성코드 유포
- 전 세계 7000만명 동시시청 '롤드컵' 결승전, 서울 고척돔서 열린다
- "아무도 모르겠지"… 마약 든 가방 찾으러 지구대 방문한 60대 입건
- "무릎 꿇어!" 음주측정 '정상' 나오자 경찰 멱살 잡은 女공무원
- 숨진 '빌라왕' 공범 등 60명 송치… 꿀꺽한 돈만 2312억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