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서울 오피스텔 매매가격지수, 5년 만에 '최대 하락'
오피스텔 거래량도 '반토막'… "투자시 다양하게 고려해야"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정부가 부동산 연착륙을 위해 규제를 적극 완화하면서 아파트시장에 변화가 일어난 한편 오피스텔시장은 여전히 찬 바람이 분다.
20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오피스텔 매매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0.26% 하락한 102.08이다. 관련 통계 집계를 시작한 2018년 1월 이후 5년 만에 최대 하락폭이다. 오피스텔 매매가격지수는 지난해 9월부터 지난달까지 5개월 연속 낙폭이 확대됐다.
서울 오피스텔은 고금리에 따른 부동산시장 침체에도 지난해 하반기까지 수요자들에게 꾸준한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잇따른 금리인상과 가격 하락 우려 등으로 오피스텔시장 마저 위축됐다. 특히 정부가 서울 전 지역을 규제지역에서 해제하면서 아파트에 눈을 돌리기 시작했고 오피스텔의 인기가 식었다.
거래량도 급감했다. 부동산 정보 제공업체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셕한 결과 지난해 전국 오피스텔 매매 거래건수는 전년(6만2284건)보다 34% 감소한 4만1176건으로 집계됐다. 전용면적이 큰 오피스텔일수록 거래가 큰 폭으로 감소했다.
서울은 더 심각하다.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오피스텔 거래량은 불과 438건으로 지난해 12월(839건)보다 48% 감소했다. 같은 기간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837건에서 1317건으로 57% 증가한 것과 비교된다. 아직 신고 기한이 남았으나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거래가 급감한 2008년 12월(445건)과 비슷한 수치가 예상된다.
한 때 저렴하고 비슷한 조건으로 아파트 대체 상품이라고 불렸던 오피스텔은 더 이상 수요자들에게 매력적으로 느껴지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빌라왕’ 등 전세사기도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오피스텔 투자 거래가 위축된 것으로 풀이된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높은 희소가치와 아파트 대체재로 인기를 끌던 전용면적 60㎡ 초과 오피스텔 거래가 지난해 아파트시장의 약세와 고금리,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등으로 반 토막이 났다”며 “투자시에는 공실 없는 임대 수익률에 초점을 맞추고 임차수요가 많은 역세권, 직주근접 오피스텔 매수를 고려하는 편이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 '특례보금자리론' 인기몰이… 3주새 14조 몰려
- 尹 국정수행 지지율 40.4%… 6주만에 40% 회복 [리얼미터]
- 北 또 탄도미사일 도발...김여정 "태평양을 우리 사격장으로 활용"
- 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 '난항'… EU, 2단계 추가 심사 예고
- [날씨] 겨울 아직 안끝났다… 전국 영하권, 서울은 -3도까지 떨어져
- 하나은행, 주택도시기금 수탁은행 선정
- IBK기업은행, 신상품 ‘IBK부모급여우대적금’ 출시
- "아프리카에도 없는 건설노조 횡포"… 국토부, 특별사법경찰권 추진
- 검찰, 아난티 호텔·삼성생명 압수수색… ‘부동산 거래 유착 의혹’
- 이상민 의원 "이재명, 기소되면 물러나야… 당 끌어들여선 안돼"
- 박영선 "이재명, 대표직 내려놓는 게 신의 한 수"
- [기자수첩] 으름장 놓던 중대재해법, 그동안 누구를 꾸짖었나
- 윤석열 정부 첫 공공분양 '뉴:홈', 청약한파 속 흥행몰이
- 현대건설·한국농어촌공사, 'K-스마트팜 해외 개척' 본격화
- 동부건설, 780억원 규모 '기초과학연구원 본원 건립사업' 수주
- 호반건설, CDE 운용 기준 명시한 '호반건설 BIM 가이드' 배포
- '갭투기' 전국 최다지역 서울 강서구… 2위는 충북 청주
- 숨진 '빌라왕' 공범 등 60명 송치… 꿀꺽한 돈만 2312억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