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안정이 정책 우선순위"

미국을 방문 중인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3일(현지시간) 워싱턴 DC의 IMF 빌딩에서 기자들과 만나 세계 및 한국 경제 전망 등에 대한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미국을 방문 중인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3일(현지시간) 워싱턴 DC의 IMF 빌딩에서 기자들과 만나 세계 및 한국 경제 전망 등에 대한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미국을 방문 중인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3일(현지시간) 한국의 경기 전망에 대해 시간이 가면서 조금씩 호전되는 모습을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WB) 총회 참석을 위해 미국을 방문 중인 추 부총리는 이날 워싱턴 DC의 IMF 빌딩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여전히 경기 흐름에 대한 불확실성이 굉장히 크고 금융 불안의 불씨가 잠재된 상황이기 때문에 정부는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경기 및 시장 안정을 위해서 면밀히 모니터링하겠다고”고 강조했다.

이어 “국가별 금년도 경기 흐름에 대한 양상은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전반적으로는 쉽지 않은 해라는 것에는 대체로 인식을 같이 하고 있다”며 “우리의 경우에는 지난해 4·4분기부터 금년 상반기까지는 굉장히 어려운 국면이 될 것이라고 이미 말씀드렸는데 상반기를 지나면서 하반기에는 좀 더 나은 경기 흐름을 보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 경제에 대한 IMF 등 유수 기관의 경기 흐름(전망)을 볼 때 금년도는 상반기보다는 하반기가 조금 나아질 것”이라며 “현재 그런 양상이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우리 경제에 대한 IMF 등 유수 기관의 경기 흐름(전망)을 볼 때 금년도는 상반기보다는 하반기가 조금 나아질 것”이라며 “금년보다는 내년이 성장률 지표가 훨씬 나은 모습으로 제시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 금융 상황과 관련해서는 “뉴욕 월가나 신용평가사들의 의견을 종합해보면 한국의 금융시장, 기관 건전성에 대한 신뢰는 상당히 높다”며 “그간 건전성 관련 조치를 지속 강화했다”고 했다.

추 부총리는 물가와 관련해 “물가 수준은 최고점인 6.3%에서 서서히 둔화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나 아직 소비자 물가가 4.2%로 굉장히 높은 수준”이라며 “우선은 물가 안정 기조를 확고히 해 나가는 게 정책의 우선순위”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