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정원 증원 두고 의료계 내부서도 의견 갈려

유럽은 유방암 진단시 영상의학 전문의 2인의 이중 판독을 권고한다. 숙련된 영상의학과 의사가 부족한 동남아, 남미 등에서 인공지능 활용 장비에 대한 수요가 높다. 사진=픽사베이
보건복지부는 포럼과 기존 국책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의대 증원 규모 확정 절차에 속도를 내자는 입장이다. 사진=픽사베이

[서울와이어 이재형 기자] 정부와 의사단체가 의사 인력 확충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한다. 

26일 의료계에 따르면 오는 27일 오후 보건복지부와 대한의사협회(의협)는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적정 의사인력 확충 방안 논의를 위한 의사인력 수급 추계 전문가 포럼’을 연다. 

이번 포럼에는 조규홍 복지부 장관, 박은철 연세대 의대 교수, 우봉식 의협 의료정책연구원장 등이 참석한다. 현재 의대 정원 증원을 두고 의료계 내부에서도 입장 차를 보이는 상황으로, 어느 정도 수준의 이야기가 오갈지 관심이 모인다.

지난 21일 열린 의료현안 연속토론회에서 우 원장은 “의사 수가 부족해 전 국민에게 심각한 문제가 생길 거라는 얘기가 나오는데 괴담에 가깝다”고 말했다. 

그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대한민국의 의사 수를 비교해서는 안 된다”며 “2025년부터 의대 입학 정원을 늘린다고 가정하면 2031년부터 의사 배출이 증가해 지금보다 더 빠르게 OECD 평균을 따라잡는데, 그때는 다시 의대 정원을 감원해야 한다고 주장할 거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자리에 참석한 홍윤철 서울대 의과대학 교수는 “의사 수 문제를 덮어두고 갈 수 있느냐? 그것도 가능하지 않다. 이미 지방 국립대병원에서는 당장 필수의료 전공의가 부족하다. 의대 정원은 필수의료에 한해 늘리되, 수도권과 비수도권 전공의 비율을 5:5로 맞춰야 한다”고 설명했다.

복지부는 포럼과 기존 국책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의대 증원 규모 확정 절차에 속도를 내자는 입장이다. 박민수 복지부 제2차관은 언론 인터뷰에서 “확충만으로 모든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지만 확충이 없으면 절대로 문제는 해결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