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 금융지원사업 부문에서 4989억원 규모부당행위 적발
버섯재배사·곤충사육사 등 농축산물 생산시설로 위장해 '허위 대출'
기금운용· 집행에 대한 점검이 미흡했다… "부정부패 근절 나설 것"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윤석열 정부가 문재인 정부 당시 태양광을 비롯한 전력산업기반기금사업(전력기금) 사용 실태를 점검한 결과 5800억원 규모의 위법·부적정 집행 사실이 적발됐다.'
3일 국무조정실 정부합동 부패예방추진단(단장 박구연 국무1차장)은 전력기금 2차 점검 결과 총 5359건에서 5824억원의 위법·부적정 집행 사례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번 점검은 지난해 9월 1차 발표의 후속 조치로 한국전력 기금사업단과 에너지공단 등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분야별로 보면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금융지원사업 부분에서 2019년∼2021년까지 3년간 총 3010건에 4898억원의 부당 행위가 적발돼 가장 큰 규모를 차지했다.
구체적 사례는 가짜 세금계산서를 통해 태양광 발전시설 설치 사업비를 부풀려 과다 대출하거나 실경작을 하지 않고 버섯재배사·곤충사육사 등 농축산물 생산 시설로 위장해 허위 대출을 하는 방식이 확인됐다.
발전소 주변 지역 지원 보조금 관련해서도 2017년∼2021년까지 5년간 보조금 규모가 큰 25개 지자체를 중심으로 집행 내역을 점검한 결과 총 1791건에 574억원의 부당 행위가 드러났다.
지자체로부터 보조금을 받아 맹지를 매입한 후 방치하다 관청 승인 없이 임의로 매각하거나 보조금 허위 정산, 특정 주민·단체 지원, 쪼개기 수의계약 등의 수법을 동원했다.
아울러 전력 분야 연구개발(R&D)에서는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172건에 266억원의 부정 사용이 적발됐으며 R&D 사업비의 이중수급, 사업비 미정산, 장비 및 결과물 방치 등 예산 낭비 사례가 밝혀졌다.
기타 전력기금에서도 금지 규정을 위반해 한국전력 퇴직자 단체와 수의계약을 하거나, 하이브리드 발전기 설치 등을 추진하는 친환경마이크로그리드 사업 관리의 부적정 및 잔액 미회수 등으로 총 386건, 86억원을 부정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진단은 이 가운데 404억원을 환수 요구하고 수사 의뢰 626건, 관계자 문책 요구를 85건 하기로 했다. 부정 수급 방지를 위해 세부 공사비가 확정된 이후 사업 신청을 하도록 하고 부정 대출로 악용되는 버섯·곤충사육사는 대출 지원 대상에서 제외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국무조정실은 “전력산업기반기금사업에서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약 12조원이 투입됐음에도 기금운용이나 집행에 대한 점검이 미흡했다”며 “부정부패 근절을 위해 강력한 제도 개선과 지속적 추적, 사후관리를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인민 호날두' 한광성, 해외 구단서 퇴출, 유엔 안보리 제재 대상
- 한화에 인수된 대우조선해양, 대기업집단 명단서 제외
- 2호선 지하철문에 6차례 발 넣은 '진상' 취객… 운전실까지 침입
- 치열한 서울 청약시장 경쟁 속 '청계 SK뷰' 관심 집중
- 역대급 무더위에 올여름 해수욕장 대박 조짐...대천 첫날 15만명 몰려
- '타다 금지법' 타격 컸나… 구조조정으로 직원 절반 떠난다
- 원희룡 "집값 5년간 너무 올라...대세상승 바람직하지 않다"
- 롯데건설 '시흥 롯데캐슬 시그니처' 견본주택 구름 인파 몰려
- "수능 관계자·학원강사가 만났다"… 교육부, 경찰에 수사 의뢰
- LH, 유공자 특화주택 '보훈보금자리 의정부' 입주식 개최
- [날씨] 전국 다시 '물폭탄' 쏟아진다… 서울 낮 최고 30도
- 현대·기아 전기차 '주행중 동력상실' 신고 넉달새 34건… 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