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럭, 연안 정착 어종… 생태학적으로 불가능"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정부는 일본 후쿠시마 원전 인근에서 잡힌 우럭에서 기준치 180배의 세슘이 검출된 것과 관련해 “해당 우럭이 우리나라 연안으로 건너올 가능성은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우동식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장은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관련 일일 브리핑에서 이같이 말했다.
우 원장은 “후쿠시마 앞 연안에 정착해 사는 우럭이 태평양과 대한해협의 거센 물결과 깊은 바다를 헤치고 우리 바다까지 1000㎞ 이상 유영해 온다는 것은 어류 생태학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어류는 한곳에 정착해 사는 정착성 어류와 적정 수온을 찾아 이동하는 회유성 어류로 나뉘는데 어떤 종류라도 국내에 유입될 가능성이 적다는 것이다. 정착성 어종에는 우럭, 광어, 쥐노래미, 참돔 등이 포함되며 회유성 어종에는 고등어, 갈치, 참조기, 멸치 등이 있다.
앞서 도쿄전력은 지난 5월 후쿠시마 제1원전 항만 내부에서 잡은 우럭에서 일본 식품위생법 기준치인 1㎏당 100베크렐(㏃)의 180배나 되는 1만8000베크렐의 세슘이 검출됐다고 밝혀 논란이 됐다.
우 원장은 “연안 정착성 어종은 어체 구조상 일본산이 국내에 건너올 수가 없다”며 “회유성 어종의 경우에도 우리 어선이 잡아서 국내에 공급하는 어종과 일본의 태평양산 어종과는 산란장과 서식지가 분리돼 우리나라에 유입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고도 회유성 어종인 연어도 강원도 연안에서 일부가 나와 소야 해협을 거친다”며 “후쿠시마 오염수와 겹칠 염려는 없다”고 덧붙였다.
- 인천공항공사, '상반기 항공 안전 캠페인' 실시
- 중국, 美 겨냥 반도체 재료 갈륨·게르마늄 무기화...업계 '비상'
- AIA생명, 소아암 어린이 돕는 사회공헌 캠페인 진행
- 하나은행, 트랙체인과 아트뱅킹 서비스 강화 업무협약 체결
- 하나카드, 무더위 극복 '쿨썸머 페스티벌'… '워터파크 최대50% 할인'
- 신한카드, 해외 결제 시 최대 6% 캐시백 이벤트
- 20대 여성, 전 남친 집에서 강제 성관계 당해… 검찰은 불기소, 법원은 기소하라
- 오세훈 "집값 낮을수록 좋다… 강남은 분명히 억제할 것"
- 카뱅, 유학생 대상 해외송금 프로모션… "3만원 캐시백 혜택"
- 역대급 '초호황' 국내 조선업… 수주폭탄에 4년치 일감 쌓인다
- 아스파탐·일본 오염수 '과도한 공포'에 식품·주류업계 전전긍긍
- 정부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우리 해역에 미치는 영향 미미"
- 전국 수산물 축제장 인산인해… 일본 오염수 선동가들 '머쓱'
- 日 오염수 방류 여파에도…노량진수산시장 카드매출 급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