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프로그룹 시총 70조5871억원으로 연초 대비 '58조원 증가'
삼성전자 여전히 1위 차지… 아모레퍼시픽그룹 가장 많이 하락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올해 들어 대기업 집단에 소속된 상장 계열사의 시가총액이 350조원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대기업 집단 73곳의 338개 상장사 시가총액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이들 기업의 시총은 올해 초 1423조7366억원에서 지난달 28일(종가 기준) 1773조9550억원으로 350조2184억원(24.6%) 늘었다.
73개 대기업 집단 중 44개 대기업 집단의 시가총액이 증가했으며 29개는 감소했다. 그룹별로는 삼성이 1위를 차지했다. 삼성의 17개 상장사 시가총액은 518조824억원에서 616조3197억원으로 7개월 동안 98조2373억원(19.0%) 증가했다.
2위는 LG그룹이 차지했고 3위 SK그룹, 4위 현대그룹으로 변화는 없었다. 이차전지 관련주 주가 폭등에 포스코그룹이 6위에서 5위, 에코프로그룹은 15위에서 6위로 각각 올랐다. 포스코그룹 6개 상장사 합산 시총은 연초 41조9388억원에서 112조4911억원으로 70조원(168.2%) 증가했다.
특히 에코프로·에코프로비엠·에코프로에이치엔을 합친 에코프로그룹 시총은 12조5965억원에서 70조5871억원으로 58조원 가까이(460.4%) 급증했다. 반면, 올해 초 시총 5위였던 카카오그룹은 6위로 밀려났다. 셀트리온그룹(7위→9위), 네이버그룹(8위→10위) 등도 순위가 하락했다.
분석 대상 기업의 시총 증가분 중 78%인 272조9293억원이 삼성전자·SK하이닉스·LG에너지솔루션 등 배터리와 반도체 관련 기업 10곳에서 발생했다. 시총이 가장 많이 감소한 그룹은 아모레퍼시픽그룹이다. 연초 10조7702억원에서 4조4692억원으로 6조3010억원(58.5%) 줄었다.
- 북한, 러시아에 무기 제공했나… 美 "주저 없이 제재할 것"
- [순살아파트 충격] 13개 건설사 '철근 누락'… "질 나쁜 5곳은?"
- 금감원, '이상 외화송금' 5대 은행 영업 일부정지 중징계
- 7월 무역수지 16억3000만 달러 늘었지만… '불황형 흑자' 지속
- BTS 정국, 또 세계 매료시켰다… 첫 솔로 '세븐' 빌보드 핫100 9위
- 에코프로비엠·금양 임원들, 주가 급락 직전 자사주 수십억 매도
- 오세훈 "외국인 가사도우미, 황무지에서 작은 낱알 찾는 마음"
- '돈봉투 의혹' 윤관석·이성만 영장 재청구… 검찰 "반헌법적 범죄행위"
- 벌떼입찰·내부거래 의혹으로 코너 몰린 대방건설… 날개 꺾이나
- 에코프로 임원들 주식 수십억원어치 팔았다… 또 개미만 독박?
- 셀트리온, 2분기 매출·영업이익 모두 10%이상 감소
- [메타센서] 총수 지분율 3.6%인데 기업지배력은 60% 넘어… 어떻게 가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