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 장악될 수 없다… 자유엔 책임"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가 지난 1일 청문회 준비 사무실이 마련된 경기도 과천시의 한 오피스텔 건물로 출근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가 지난 1일 청문회 준비 사무실이 마련된 경기도 과천시의 한 오피스텔 건물로 출근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가 청문회 준비 첫 출근길에서 언론의 자유를 강조했으나 이 과정에서 쓴 표현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이 후보자는 지난 1일 오전 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는 길에 취재진과 만나 “언론탄압 논란 부분에 대해서만 한 말씀 드리겠다. 반드시 말하고 싶은 건 언론은 장악될 수도 없고 장악돼서도 안 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만 자유에는 반드시 책임이 뒤따라야 한다”며 “무책임하게 가짜 뉴스를 퍼 나른다든가 특정 진영의 정파적인 이해에 바탕한 논리나 주장을 무책임하게 전달하는 건 언론 본 영역에서 이탈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후보자는 또 “공산당의 신문이나 방송은 언론이라 하지 않고 ‘기관지’라 한다”며 “어떤 언론이 그런 언론인지는 국민들이 판단하고 본인들이 잘 알 것이라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야당에서는 이 후보자가 과거 이명박 정부에서 청와대 홍보수석으로 재직하며 ‘언론장악을 주도했다’고 비판하고 있다. 또 자녀 학폭(학교폭력) 의혹에서도 자유롭지 않은 만큼 방송통신분야 정책을 총괄하는 공직자 자리에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이 후보자는 “만약 언론을 장악하기 위해 어떤 지시와 실행을 했고 분명한 결과가 나왔었다면 오늘 이 자리에 설 수 있었겠는가”라며 “청문회장에서 소상하게 겸허하고 성실하게 소명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