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 장악될 수 없다… 자유엔 책임"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가 청문회 준비 첫 출근길에서 언론의 자유를 강조했으나 이 과정에서 쓴 표현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이 후보자는 지난 1일 오전 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는 길에 취재진과 만나 “언론탄압 논란 부분에 대해서만 한 말씀 드리겠다. 반드시 말하고 싶은 건 언론은 장악될 수도 없고 장악돼서도 안 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만 자유에는 반드시 책임이 뒤따라야 한다”며 “무책임하게 가짜 뉴스를 퍼 나른다든가 특정 진영의 정파적인 이해에 바탕한 논리나 주장을 무책임하게 전달하는 건 언론 본 영역에서 이탈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후보자는 또 “공산당의 신문이나 방송은 언론이라 하지 않고 ‘기관지’라 한다”며 “어떤 언론이 그런 언론인지는 국민들이 판단하고 본인들이 잘 알 것이라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야당에서는 이 후보자가 과거 이명박 정부에서 청와대 홍보수석으로 재직하며 ‘언론장악을 주도했다’고 비판하고 있다. 또 자녀 학폭(학교폭력) 의혹에서도 자유롭지 않은 만큼 방송통신분야 정책을 총괄하는 공직자 자리에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이 후보자는 “만약 언론을 장악하기 위해 어떤 지시와 실행을 했고 분명한 결과가 나왔었다면 오늘 이 자리에 설 수 있었겠는가”라며 “청문회장에서 소상하게 겸허하고 성실하게 소명하겠다”고 말했다.
- 초강력 태풍 카눈 4일쯤 방향 튼다...한반도 빗겨가나
- '돈봉투 의혹' 윤관석·이성만 영장 재청구… 검찰 "반헌법적 범죄행위"
- 오세훈 "외국인 가사도우미, 황무지에서 작은 낱알 찾는 마음"
- 코로나 확진자 5만명 넘었다… 의료계 "감염병 등급 하향 성급"
- 최준우 주택금융공사 사장, 마약 근절 ’노 엑시트’ 캠페인 동참
- 국민의힘 '김남국 방지법' 발의…제명 징계시 5년간 피선거권 박탈
- 세수 감소액 상반기 40조 육박… 그런데도 정부는 전방위 감세
- 미국서 학폭 방치 교육당국에 사상최대 116억 배상 폭탄
- 10세 영재 백강현 서울과학고 입학 한학기만에 자퇴… "협박메일 받았다"
- 영재 백강현 아버지 학폭 주장… "전교 꼴등이 서울과학고 있는 것은 기만"
- 현 고1 대학 갈때 정시에도 학폭 반영… 각 대학 내년 4월까지 시행계획 발표
김익태 기자
177dlrxo@seoulwire.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