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정기국회서 자사주 소각 의무화 확정 될 듯
LG, 주주가치 제고 위해 2500억원 규모 자사주 소각
증권가 "선진시장 위해 반드시 필요한 조치"

[서울와이어=노성인 기자] 이달 들어 상장사 24곳이 자사주를 소각하는 등 기업들의 움직임이 분주하다. 더불어민주당이 다음 달 정기국회에서 ‘자사주 소각 의무화’를 담은 3차 상법 개정을 추진하겠다고 밝히면서 기업들이 선제적으로 대응에 나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2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이달 들어 자사주를 소각하겠다고 공시한 상장사는 코스피 12곳, 코스닥 12곳 등 총 24개사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12건) 대비 2배로 늘어난 수준이다.
전날에도 LG와 대신증권이 자사주 소각 계획을 발표했다. LG는 주주가치 제고 차원에서 보통주 302만9580주를 소각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발행주식 총수의 1.93%에 해당하며, 규모는 약 2500억원에 달한다.
대신증권도 2024년에 발행한 상환전환우선주(RCPS) 133만796주를 전량 매입해 모두 소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소각 예정 금액은 약 722억원이다.
이 같은 자사주 소각 발표가 이어지는 배경에는 상법 개정안이 자리하고 있다. 최근 ‘더 센 상법 개정안’으로 불린 2차 상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했고, 민주당은 오는 9월 정기국회에서 자사주 소각 의무화를 포함한 3차 개정안을 추진하겠다고 예고했다.
현재까지 발의된 자사주 소각 관련 법안은 총 5개로, 신규 취득 자사주를 즉시 소각하도록 하는 안(김현정 의원)부터 신규 취득분은 6개월 내 소각하고 기존 보유분은 5년간 유예하는 안(차규근 의원)까지 내용이 다양하다. 이로 인해 기업들이 불확실성 해소를 위해 미리 자사주 소각에 나서고 있다는 분석이다.

시장에서는 주주가치 제고라는 긍정적 평가가 나오지만, 기업들은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다며 우려를 표한다. 경영권 방어 수단이 약화되면 적대적 인수·합병(M&A) 가능성이 커지고, 행동주의 펀드의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시장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는 이유다.
김춘 한국상장회사협의회 정책1본부장은 "자기주식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면 소각 의무가 아닌 처분 시 신주 발행 제도를 준용해 처분 공정화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며 "기업의 유연한 자금 운용 보장과 경영권 방어 수단 도입 등 보완 조치가 동반돼야 한다"고 언급했다.
반면 증권가에서는 자사주 의무 소각이 한국 자본시장의 경쟁력을 높이는 필수 과제라는 의견이 우세하다.
노동길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배당에는 소득세가 부과되지만 자사주 소각은 세금이 붙지 않는 주주가치 제고 수단”이라며 “자사주 소각으로 기존 자사주 매물 출회 우려(오버행 리스크)도 줄어든다”고 분석했다.
정다솜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자사주 소각 의무화는 한국 시장의 글로벌 스탠더드 정착을 위한 필수 과제"라며 "다만 논의가 지연되거나 기보유 자사주에 과도한 유연성이 부여되면 규제를 우회해 자사주가 처분될 수 있는 만큼, 실제 입법 과정에서 세부 규정을 자세히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특징주] 로보티즈, 1000억원 규모 유상증자 소식에 약세
- [특징주] 피에스케이, 미·중 반도체 갈등 수혜 전망에 ‘급등’
- 코스피, 美 증시 훈풍에 3210선 회복...코스닥 800선 되찾아
- 'IMA 시장' 바라만 보는 KB증권…1.3조원 자산보강 힘드나?
- IMA 인가 앞두고 ‘벌크업’ 나선 한투證…업계 “몸집이 곧 실적”
- 한화투자증권, MTS 이용 고객에 '서울세계불꽃축제' 티켓 제공
- 美 증시 호조에 2분기 기관외화증권 잔액·증가폭 '역대 최대'
- 한화운용, 'LIFEPLUS TDF' 3개월 수익률 1위
- [증시 주간 전망대] 韓美 경제지표·9월 FOMC에 대한 관망심리↑…코스피 3000~3300P
- 코스피, 외국인 '팔자'에 3200선 하회…코스닥도 790대로 밀려나
- 한투운용, ACE ETF 대학생 서포터즈 1기 모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