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성장펀드'가 150조원 이상 규모로 판을 키워 향후 5년간 인공지능(AI)·반도체·바이오 등 10개 첨단산업 및 밸류체인(생태계) 전반을 지원한다. 사진=금융위원회 제공.
'국민성장펀드'가 150조원 이상 규모로 판을 키워 향후 5년간 인공지능(AI)·반도체·바이오 등 10개 첨단산업 및 밸류체인(생태계) 전반을 지원한다. 사진=금융위원회 제공.

[서울와이어=김민수 기자] 민관이 매칭해 첨단산업에 자금을 공급하고 성과를 국민과 공유하는 150조원 규모의 국민성장펀드가 연내 본격 가동된다.

금융위원회는 10일 서울 마포 프론트원에서 관계부처와 산업계, 금융권이 함께하는 ‘국민성장펀드 국민보고대회’를 열고 향후 추진 전략을 공개했다. 행사에는 SK, 셀트리온,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자동차, 퓨리오사AI, LG유플러스, 네이버, 두산 등 주요 첨단산업 기업들과 박현주 미래에셋 회장, 김태훈 뱅크샐러드 대표, 김효이 이너시아 대표 등 금융권 인사들이 참석했다.

국민성장펀드는 당초 100조원 규모로 추진됐으나 논의 과정에서 50조원이 늘어나 총 150조원으로 확대됐다. 향후 5년간 인공지능(AI), 반도체, 바이오, 백신, 로봇, 수소, 2차전지, 디스플레이, 미래차, 방산 등 10대 첨단전략산업과 밸류체인 전반에 투입된다. 이를 통해 벤처·기술기업 스케일업, 지역 성장, 일자리 창출 등으로 최대 125조원의 부가가치 유발 효과가 기대된다.

펀드는 산업은행이 운영하는 75조원의 첨단전략산업기금과 민간·국민·금융권 자금 75조원으로 구성된다. 정부는 재정 1조원을 마중물로 투입해 민간 참여를 유도하고, 산업은행은 기금채 이자 등을 감당할 수 있도록 별도 자금을 출연한다. 금융권과 연기금은 정부·산업은행과 위험을 분담하는 구조로 참여한다.

운용 방식은 직접지분투자, 간접지분투자, 인프라투융자, 초저리 대출 지원 등 다양하다. 신설 법인이나 공장 설립에 지분 투자자로 참여하거나, 기업 인수합병(M&A) 자금을 지원하는 방식이 가능하다. 또 초장기 기술투자펀드 일부는 국민참여형으로 조성해 성장의 과실을 국민이 함께 나누도록 설계됐다.

인프라 지원도 강화된다. 첨단산업단지 전력망·발전·용수시설 구축에 투자하거나 AI 데이터센터와 첨단산업단지 대규모 설비투자 자금을 2%대 국고채 금리로 제공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금융당국은 은행·증권·보험·연기금의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건전성과 운용 규제를 유연화하고, 주택담보대출보다 기업 여신과 벤처 투자에 자금이 더 흘러가도록 대출 위험가중자산(RWA) 산정 방식도 개편할 예정이다.

국민성장펀드는 12월 초 첨단전략산업기금 출범을 시작으로 본격 집행된다. 정부는 산업 내 파급효과가 크고 상징성이 높은 대형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지원 대상을 발굴할 계획이다.

금융위는 “이번 펀드는 시중자금을 생산적 영역으로 돌리는 금융 대전환의 대표 과제가 될 것”이라며 “은행 자금중개기능 혁신, 초대형 투자은행(IB) 육성, 모험자본과 코스닥 활성화를 통해 실물경제와 금융이 동반 성장하고, 그 성과를 기업·국민·지역이 함께 나누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