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예측서 기관 10곳 중 7곳 '의무보유확약'
이행명 회장 "상속 아닌 해외진출과 인재채용이 위한 것"

사진=명인제약
사진=명인제약

[서울와이어=노성인 기자] 하반기 기업공개(IPO) 대어 중 하나로 꼽히는 명인제약이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에서 높은 의무보유확약(락업) 비율을 기록하면서 흥행에 대한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이에 시장에서는 명인제약의 흥행을 계기로 현재 침체된 IPO 시장이 활력을 찾을 지 주목된다.

1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따르면 명인제약은 지난 9~15일 기관 수요예측을 진행한 결과 희망 공모가를 밴드 상단인 5만8000원에 확정했다. 공모가 기준 상장 후 시가총액은 약 8468억원 규모로 추정된다.

특히 수요예측에 참여한 국내외 기관투자자 총 2028곳 중 1411곳(69.6%)이 주식 의무보유를 약속한 것이 눈에 띈다. 구체적으로 3개월 이상 의무보유를 약속한 기관은 총 697곳(34.3%)으로 약 3분의 1에 수준이며 6개월 이상 의무보유를 약속한 기관도 261곳(12.9%)이나 됐다.

이는 2020년대 들어서 사례가 몇개 없을만큼 높은 수준으로 과거 SK바이오사이언스(85.26%)나 하이브(78.37%), 카카오게임즈(72.57%) 정도가 명인제약보다 높을 뿐이다. 

이는 지난 7월부터 공모주 배정 물량 30% 이상을 기관투자자에 의무보유확약 물량으로 우선 배정하도록 규제가 강화된 점으로 고려하더라도 양호한 결과라는 설명이다. 실제 전체 기관투자자 참여 물량의 99.99%가 공모가 밴드 최상단인 5만8000원을 제시했다는 점은 기관들이 회사 중장기 성장 가능성을 기대하고 있다는 평가다.

사진=게티이미뱅크
사진=게티이미뱅크

앞서 명인제약은 공모과정에서 다양한 논란이 있었지만 이를 적절히 해소하면서 시장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먼저 시장에서는 상속을 위한 상장이라는 시선이 존재했다. 올해 상반기 기준 현금성 자산이 2777억원에 달해 상장 목적이 뚜렷하지 않은 데다가 이소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주가를 눌러 증여세를 줄이려는 상속용 IPO"라고 지적하기도 했기 때문이다.

명인제약을 해당 논란을 전면으로 반박했다. 오로지 지속가능한 회사를 만들기 위한 상장이라며 상장 후 3~4년 안에 전문경영인 체제를 도입해 소유와 경영을 분리하겠다고 강조했다.

상장 이후 오너 일가의 지분(73.81%)에 대한 보호예수 기간이 6개월에 불과해 오버행(잠재적 매도 물량) 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나오기도 했으나, 회사 측은 이행명 명인제약 회장은 투자자가 아니라 창업자이기 때문에 6개월 뒤 전량이 시장에 나오는 것은 불가능하고 선을 그었다.

이행명 명인제약 회장은 “이번 IPO를 승계와 연결하는 시각이 있지만 사실과 다르다”며 “대주주 지분이 충분한 상황에서 승계만을 생각했다면 굳이 상장할 이유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상장은 인재 확보와 글로벌 진출을 위해 추진하게 됐다””라고 말했다.

이렇게 명인제약의 흥행이 점쳐지면서 그동안 찬바람이 감돌고 있던 IPO 시장에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날지 시장이 이목이 쏠리고 있다.

실제 이달 신규 상장건수는 1건에 그쳤다. 지난 7월, 8월 각각 10개사, 11개사가 상장한 것과 비교하면서 크게 부진한 셈이다. 작년 9월에서 5개사가 상장한 바 있다. 올 상반기 실적 부진에 따른 부담과 기관 투자자의 의무보유 확약을 확대로 IPO를 준비 중이던 기업들이 절차를 미루고 있다는 설명이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명인제약은 상장 후 유통가능물량이 전체 대비 21.53%로 제한되고 공모가가 싸게 책정됐다는 평가 등으로 투자자들이 쏠릴 것으로 보인다”며 “최근 코스피가 역대급 강세장으로 기록하고 있는 점 등 명인제약의 흥행으로 IPO 시장 내 분위가 반전 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