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소위 신설 등 투자자 보호 관련 압박↑
신한투자증권, 해외 레버리지 ETF 사전교육 서비스
한국투자증권, 정보보안 경쟁력 강화 등

서울 여의도 증권가 전경. 사진=연합뉴스
서울 여의도 증권가 전경.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노성인 기자]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은 증권사 대표(CEO)들과 만난 자리에서 금융소비자보호를 강조한 것에 이어 금융소비자보호원(금소원)이 신설되는 등 금융당국에서 투자자 보호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면서 증권사들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2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금융감독위원회(금감위) 산하에 금융소비자보호위원회(금소위)를 신설하는 개정안이 발의됐다. 앞서 정부는 금융감독원 내부의 금융소비자보호처를 금융소비자보호원으로 격상해 독립시키기도 했다.

업계에서는 금융소비자 보호기능을 분리 독립된 만큼 앞으로 소비자 보호와 분쟁조정에 당국이 더 깊게 관여하게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실제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 15일 외국계 금융사 CEO들을 만난 자리에서 “국내 금융회사와 외국계 금융회사의 영업 방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금융소비자 보호 원칙에서는 어떤 차이도 있을 수 없다”며 “금융상품 설계부터 판매, 사후관리 등 전 과정에서 소비자 권익을 먼저 고려해달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렇게 투자자 보호에 대한 금융당국이 이전보다 엄격한 잣대를 들이댈 것으로 보임에 따라 증권사들도 자체적인 투자자 교육 컨텐츠 제공, 고위험 상품 판매를 종료하는 등 선제적으로 나서고 있다.

먼저 신한투자증권은 ‘해외 레버리지 ETF 얼리버드’를 진행 중이다. 이는 올해 연말부터 해외 레버리지 ETF/ETN 거래 시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하는 사전 교육 제도를 고객들이 미리 준비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는 것이다.

사전 교육을 이수한 고객은 향후 제도 적용 시 면제 혜택을 받고 거래 증권사 이동 등 다양한 상황에 대응하여 레버리지 ETF 거래를 연속적으로 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한국투자증권은 지난 6월부터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운영하는 ‘정보보호 공시 종합포털’에 정보보호 관련 투자 규모, 인력 구성, 인증 현황, 주요 활동 등 공시하고 있다. 금융사는 공시 의무 대상이 아니지만 선제적인 정보 공개를 통해 고객 신뢰 제고와 보안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설명이다.

한국투자증권 관계자는 “최근 금융권 전반에 걸쳐 보안에 대한 중요성이 더 주목받고 있다"라면서 “앞으로도 정보보호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안전한 디지털 금융 환경 조성을 위한 보안 역량 강화와 체계적 대응에 지속적으로 힘쓰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고난도 금융상품에 대한 판매 규제 강화를 앞두고 증권사들은 레버리지 등 해당 유형 펀드 판매를 잇달아 중단하고 나섰다. 고난도 금융투자상품은 상품 구조가 복잡하면서 최대 손실위험이 원금의 20%가 넘는 상품이다.

지난 1일 NH투자증권과 대신증권은 각각 고난도 펀드 12종, 14종에 대한 판매를 종료한다고 발표했다. 앞서 지난 7월에는 한국투자증권과 키움증권이 고위험 펀드 판매를 멈췄다. 한국투자증권은 규제 강화로 숙려기간에 동영상 제공이 필요해 관련 프로세스를 준비한 뒤 7월 중 재개할 예정이라고 했지만 아직 판매 재개를 하지 않고 있다.

증권사 관계자는 “회사 내 내부통제 조직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임직원에 대한 금융소비자보호 인식 향상 교육을 진행하는 등 투자자 보호를 위해 힘쓰고 있다“며 “앞으로는 투자자 보호를 위한 금융당국의 정책 변화를 면밀히 모니터링해 고객에게 더 좋은 투자 환경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