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일본산 저가 공세·미국 50% 관세 겹치며 수익성 급락
당진상의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K-스틸법 통과 시급해"
지역 생산액 60% 차지… 공장 중단·매각 잇따라 산업기반 흔들

경기도 평택항에 철강 제품이 쌓여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경기도 평택항에 철강 제품이 쌓여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최찬우 기자] 국내 철강산업이 내수 침체와 해외 변수에 동시에 흔들리고 있다. 중국·일본산 저가 철강재의 급증과 미국의 50% 철강 관세 부과 여파로 충남 당진을 비롯한 주요 철강 거점 지역의 수익성이 급격히 악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당진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당진지역 주요 철강기업들은 총 660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2023년 2073억원, 지난해 327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던 것과 비교하면 불과 1~2년 만에 손익 구조가 완전히 역전된 셈이다.

가동률도 급락했다. 일부 기업은 60% 이하로 떨어졌으며 A사는 58일, B사는 31일 동안 생산라인을 멈췄다. 2022년 7만6000t의 합금철을 생산했던 C사는 지난해 5월 이후 합금철 생산을 중단하고 매각을 추진 중이다. D사 역시 지난해 11월 당진공장 부품 생산을 멈춘 채 매각 절차를 진행하고 있고 E사는 적자 누적과 부채 증가로 지난해 8월 공장등록을 취소했다.

세수 감소도 뚜렷하다. 당진 철강기업들의 국세 납부액은 2022년 4733억원에서 지난해 666억원으로 줄었고, 법인 지방소득세는 317억원에서 28억원으로 90% 가까이 급감했다. 올해 3분기 기준 철강금속 업종의 경기체감지수는 75, 매출·영업이익지수는 55로, 기준선(100)에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다.

당진에는 현대제철, KG스틸, 동국제강, 환영철강, 휴스틸 등 6개 대기업을 포함해 88개 철강기업이 밀집해 있다. 지역 제조업 생산액(31조2000억원) 중 철강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60%, 제조업 종사자 3만5847명 중 1만4414명(40.2%)이 철강 분야에서 일한다.

지역 경제의 핵심축인 철강산업이 흔들리자 충남도와 당진시, 지역 기업들은 산업통상자원부에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요구하고 나섰다.

당진상의 관계자는 “철강산업은 지역경제의 중심이자 국가 제조업의 근간”이라며 “이번 위기를 극복하지 못하면 당진은 물론 한국 산업 전체의 경쟁력이 흔들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상의는 정부에 산업용 전기요금 인하와 함께 국회에 계류 중인 ‘K-스틸법’의 조속한 통과도 촉구했다. 최근에는 포항·광양상공회의소와 함께 공동 건의문을 기후에너지환경부와 산업통상자원부에 전달하며 철강산업 지원책 마련을 요청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