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생각률 지난해 13.6%로 10% 넘어

[서울와이어 이재형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국민 정신건강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2월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코로나19 국민정신건강 실태조사’에 따르면 코로나19 유행 이후 우울증을 호소하는 이들이 늘었다. 자살생각률은 2020년 3월 9.7%에서 지난해 13.6%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우울위험군도 17.5%였던 게 18.9%로 늘었다. 국민 5명 중 1명이 우울위험군이다.
이에 정부는 오늘(28일)부터 부산에서 ‘동네의원-정신의료기관 치료연계 시범사업’을 실시한다. 이 사업은 정신건강의학과가 아닌 1차 의료기관(동네의원)이 환자 중 자살 위험이 있는 이들을 선별해 지역 정신의료기관이나 정신건강복지센터 등과 연결하는 프로그램이다.
현재 참여 의사를 밝힌 지역 비 정신과 1차 의료기관은 57곳으로, 정부는 추가 신청을 받아 동네의원 참여를 확대할 계획이다.
교육당국도 학생들의 정신건강 문제가 심각하다고 보고 문제 해결에 나섰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이날 서울의 한 고등학교를 찾아 보건교사 및 정신건강 전문가와 간담회를 갖는다.
교육부에 따르면 극단선택을 한 10만명당 학생 수는 2019년 2.5명, 코로나19 발생 첫 해인 2020년에는 2.7명, 지난해에는 3.6명으로 증가세다. 학생정서검사 결과를 보면, 정신건강 관리가 필요한 관심군 학생이 8만명에 달한다.
유 부총리는 이번 간담회에서 코로나19 유행 이후 학생 정신건강 변화 현황 등에 대해 정신건강 전문가 등과 논의할 예정이다. 정부는 학교 측이 학생들의 정신건강 회복을 위한 심리지원을 요청하면 전문의 직접 방문 등 조치를 계획 중이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자살률 증가 등 국민 정신건강이 나아지지 않고 있어 관리가 필요하다”며 “관련 정책을 더 촘촘히 수립하겠다”고 말했다.
- 신규확진 곧 10만명선으로 떨어지나...오늘 18만7000명(종합)
- 금주 신규확진 10만명대로 떨어질까...오늘 18만7천명
- 김부겸 "오미크론 확산세 한고비 넘겼다"...오늘 신규확진 33만9000명
- 김부겸 총리 "정부 방역정책 자부...객관적 지표로 판단하길"
- 코로나 하루 사망자 470명 역대 최다...신규확진 40만 육박(종합)
- [인사] 우리은행
- 우리은행, 초소형 점포 ‘디지털 EXPRESS점’ 오픈
- "시간·비용 다 잡는다" 제약업계, AI 활용 본격화
- 목 통증, 물리치료보다 '추나요법'이 비용효과적
- 한국 자살률, OECD 평균 2.2배… 남자가 여자보다 많아
- 자매 극단선택한 세종 아파트서 자녀 2명도 숨진채 발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