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생각률 지난해 13.6%로 10% 넘어

지난해 12월 보건복지부 발표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19 유행 이후 우울증을 호소하는 이들이 늘었다. 자살생각률은 2020년 3월 9.7%에서 지난해 13.6%로 증가했다. 사진=픽사베이
지난해 12월 보건복지부 발표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19 유행 이후 우울증을 호소하는 이들이 늘었다. 자살생각률은 2020년 3월 9.7%에서 지난해 13.6%로 증가했다. 사진=픽사베이

[서울와이어 이재형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국민 정신건강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2월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코로나19 국민정신건강 실태조사’에 따르면 코로나19 유행 이후 우울증을 호소하는 이들이 늘었다. 자살생각률은 2020년 3월 9.7%에서 지난해 13.6%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우울위험군도 17.5%였던 게 18.9%로 늘었다. 국민 5명 중 1명이 우울위험군이다.

이에 정부는 오늘(28일)부터 부산에서 ‘동네의원-정신의료기관 치료연계 시범사업’을 실시한다. 이 사업은 정신건강의학과가 아닌 1차 의료기관(동네의원)이 환자 중 자살 위험이 있는 이들을 선별해 지역 정신의료기관이나 정신건강복지센터 등과 연결하는 프로그램이다.

현재 참여 의사를 밝힌 지역 비 정신과 1차 의료기관은 57곳으로, 정부는 추가 신청을 받아 동네의원 참여를 확대할 계획이다.

교육당국도 학생들의 정신건강 문제가 심각하다고 보고 문제 해결에 나섰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이날 서울의 한 고등학교를 찾아 보건교사 및 정신건강 전문가와 간담회를 갖는다. 

교육부에 따르면 극단선택을 한 10만명당 학생 수는 2019년 2.5명, 코로나19 발생 첫 해인 2020년에는 2.7명, 지난해에는 3.6명으로 증가세다. 학생정서검사 결과를 보면, 정신건강 관리가 필요한 관심군 학생이 8만명에 달한다.

유 부총리는 이번 간담회에서 코로나19 유행 이후 학생 정신건강 변화 현황 등에 대해 정신건강 전문가 등과 논의할 예정이다. 정부는 학교 측이 학생들의 정신건강 회복을 위한 심리지원을 요청하면 전문의 직접 방문 등 조치를 계획 중이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자살률 증가 등 국민 정신건강이 나아지지 않고 있어 관리가 필요하다”며 “관련 정책을 더 촘촘히 수립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