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구 매매가격 상승률 0.04% 기록, 전주 대비 0.02%p↑
용산구, 전주보다 0.01% 올라… 당선인 집무실 이전 영향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규제 완화 기대감이 커지면서 서울 아파트값이 2주 연속 보합을 나타냈다. 특히 강남구와 용산구, 서초구 등은 전주대비 상승했다.
14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4월 둘째 주(11일 기준) 아파트 가격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주에 이어 2주 연속 보합을 기록했다. 전국 아파트가격 상승률은 지난주(-0.01%)보다 0.01%포인트 오르며 보합을 나타냈다.
구별로 보면 은평구와 동대문·중랑구, 구로·금천·영등포구 등 지역의 아파트값이 최근 이어진 하락을 멈추고 보합 전환했다. 강남구는 전주(0.02%)보다 0.02%포인트 오른 0.04%를 기록했다. 서초구는 2주 연속 0.02% 상승했다.
특히 집무실 이전 이슈로 기대감이 한껏 높아진 용산구가 전주(0.02%) 대비 0.01%포인트 오른 0.03%를 기록했다. 양천구도 최근 목동신시가지 단지 재건축 기대감으로 지난주 보합에서 이번주(0.02%) 상승전환했다.
경기도 아파트값 상승률(-0.01%)은 전주(-0.03%)보다 0.02%포인트 올랐다. 지난주 보합을 기록했던 인천(-0.01%)은 다시 하락했다. 지방은 0.01% 상승했다. 다만 세종(-0.20%)과 대구(-0.13%), 대전(-0.07%) 등 지역의 하락세는 여전했다.
전세시장은 최근 전세자금대출 재개로 급전세 매물이 일부 소진되며 물건이 감소했으나 가격 하락세가 이어졌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3주 연속 0.02% 하락했고, 경기(-0.02%)와 인천(-0.07%)도 약세가 지속됐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높은 신축과 고가단지, 선호도 낮은 구축 위주로 매물이 쌓이면서 전세시장 하락세가 지속됐다”고 말했다.
- 재판부, HDC현산' 영업정지 처분' 효력 정지… "당분간 사업 지속"
- 기존 주택 안팔려 입주 못한 가구 늘었다… 부동산 거래절벽 여파
- '청약 대박' 송파 성지 너무 비쌌나… "절반이 미계약"
- 감당 안되는 원자재 가격 폭등세… 건설업계 셧다운 '초비상'
- "녹지에 아파트 짓게 해달라" 부영의 이유있는 골프장 기부
- 우리은행 고객패널 ‘우리 팬 리포터’ 3기 모집
- 우리종합금융, 신용등급‘A+(안정적)’으로 상향
- 하나금융그룹, 꿀벌농장 조성 사업 시행
- 윤석열 “특정 인사 배제 없어… 설명했고, 아무 문제 없다”
- '부동산 랠리' 시작되나… 강남 이어 분당·일산 집값도 들썩
- 한숨 돌린 HDC현산… 법원, 8개월 영업정지 처분 효력정지
- [내집 마련 캘린더] 집값 고공행진 속 필수 '청약리스트'
- 대선 이후 거래된 강남·서초 아파트값 평균 4억원 올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