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영업익 모두 분기 최대치

에쓰오일은 27일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대비 73.8% 늘어난 9조2870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영업이익은 1조3320억원으로 무려 111.7% 증가했다. 사진=에쓰오일 제공
에쓰오일은 27일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대비 73.8% 늘어난 9조2870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영업이익은 1조3320억원으로 무려 111.7% 증가했다. 사진=에쓰오일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에쓰오일이 올해 1분기 국제 정제마진 강세와 유가 상승으로 매출과 영업이은 모두 분기 기준 최대치를 기록했다. 

에쓰오일은 27일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대비 73.8% 늘어난 9조2870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영업이익은 1조3320억원으로 무려 111.7% 증가했다. 순이익 역시 8708억원으로 152.6% 급증했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종전 최고치를 넘어섰다. 매출은 2011년 4분기(9조2640억원) 대비 소폭 늘었고, 영업이익은 2008년 2분기(7041억원)를 훌쩍 뛰어넘었다. 특히 영업이익이 1조원대를 넘어선 것은 창사이래 처음이다.

회사의 실적은 우호적 시장 환경과 신규 석유화학 복합시설 설비 완공, 정제마진 강세 속 가동률을 최대로 올리면서 대응한 결과다. 여기에 유가 상승으로 재고이익도(5620억원) 증가하면서 실적은 날개를 달았다.

사업별로 정유부문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7조1791억원, 영업이익 1조2022억원이다. 사실상 회사의 실적을 이끈 셈이다. 정유부문 영업이익은 전체 영업이익에 90%를 차지한다. 석유화학부문은 매출액은 1조3662억원을 기록했지만, 656억원의 영업손실이 발생했다.

윤활유부문은 ▲계절적 수요 ▲정기보수 ▲경유 생산 극대화로 인한 윤활설비 가동 축소 등의 영향으로 매출액 7417억원, 영업이익 1953억원을 기록했다. 윤활기유 스프레드는 다소 하락세를 보였으나 윤활기유 원재료가격 상승분이 정유부문의 수익으로 반영됐다.

에쓰오일은 2분기 전망에 대해 아시아 지역 정제마진이 타이트한 공급을 유지하면서 정제마진 강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경유 스프레드 역시 지정학적 공급난에 지속돼 펀더멘탈 강세를 유지할 것으로 분석했다.

에쓰오일 관계자는 "글로벌 석유제품의 최저 수준 재고, 항공유 수요의 점진적 회복, 탄소배출저감에 따른 중국 제품의 역내 수출 감소 등으로 국제 정제마진 강세가 이어질 것"이라며 "신규 정제 설비에 대한 투자가 수요 증가에 못 미치는 상황이 수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