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변이 대응 중화항체 25배↑
추가 오미크론 변이 대응 연구 진행

안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사장이 13일 경기도 판교에 위치한 에코허브에서 국산 1호 코로나19 백신 '스카이코비원'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안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사장이 13일 경기도 판교에 위치한 에코허브에서 국산 1호 코로나19 백신 '스카이코비원'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서울와이어 김경원 기자] SK바이오사이언스가 개발한 국산 1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스카이코비원이 오미크론 변이(BA.1)에 중화항체 교차반응을 보인 것으로 확인되면서 현재 글로벌 유행을 이끄는 오미크론 하위변이(BA.4·BA.5)에도 효과가 있을지 모른다는 기대감이 높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합성항원 방식 백신 스카이코비원을 건강한 성인 81명에 2회 접종한 뒤 7개월이 지나 스카이코비원을 추가 접종하는 임상 1/2상 연장연구에서 오미크론 변이(BA.1)에 대한 면역반응을 확인했다고 13일 밝혔다. 

연구 결과 오미크론 바이러스의 감염성을 중화해 예방효과를 유도할 수 있는 중화항체가가 스카이코비원 2회 접종 직후와 비교해 25배 증가했다. 이후 7개월 경과 시점에서 부스터샷 접종 직전과 비교했을 때보다 접종 뒤 중화항체가 72배 상승했다.

이와 관련 안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사장은 13일 보건복지부 출입기자단에게 스카이코비원이 오미크론과 BA.5 등 하위변이에 효과가 있을지 현재 과학적으로 말하기는 어렵지만 실험을 통해 유추하면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언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이번 1/2상 연장연구 외에도 기존 3상 임상시험의 연장연구와 기존에 허가 받은 다른 코로나19 백신 접종자를 대상으로 한 부스터샷 임상을 진행하며 추가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대응효과를 확인하는 등 엔데믹 시대에 스카이코비원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검증 중이다. 

안재용 사장은 “기나긴 코로나19 팬데믹을 지나 전 세계가 서서히 일상을 되찾아가는 가운데 새로운 변이가 끊임없이 인류를 위협하고 있다”며 “스카이코비원의 다양한 임상과 더불어 이 플랫폼을 활용한 다가백신, 범용백신 등의 개발에 박차를 가해 엔데믹 준비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