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보맵파트너 소속 정규직 설계사들 해촉
설계사 수익성 효율성 등 문제로 조직 없앤 듯
업계 "기본급, 계약모집 유인 떨어질 수 있어"

[서울와이어 최석범 기자] 정규직 보험설계사 모델이 자취를 감추고 있다. 대형 법인보험대리점이 이 모델을 택해 업계로부터 주목을 받았으나, 대부분 폐지하면서 실패한 모델이 됐다.
5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인슈테크 기업 보맵의 자회사형 법인보험대리점(GA) 보맵파트너는 최근 정규직 보험설계사를 전부 해촉했다. GA는 보험회사의 보험상품을 위탁 판매하는 회사를 뜻한다. 보맵파트너 역시 보험회사와 위탁판매 제휴를 체결하고, 상품을 판매했다.
보맵파트너는 이 보험상품 판매를 정규직 설계사가 하는 구조였다. 대부분 GA는 보험설계사를 위촉해 상품을 판매한다. 위촉직인 탓에 고정 월급은 없고 모집에 따른 수수료를 급여로 지급한다.
그러나 정규직 설계사가 모집하는 보험계약이 낮았고, 수익성과 효율성 문제로 모두 해촉한 것으로 전해졌다. 해촉 전 보맵파트너는 주 5일 근무를 조건으로 입사 1년차 기준 3600만~6000만원의 연봉을 받았다.
업계에서는 정규직 설계사 모델이 한국 보험시장에서 자리잡기 어렵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기본급이 보장되다보니 계약을 모집할 유인이 적다는 이유 때문이다.
토스는 자회사 토스인슈어런스의 정규직 설계사 조직을 없애고 위촉직 설계사 조직으로 전환했으며, 피플라이프도 올해 초 전부 위촉직 설계사 제도로 변경했다.
업계 관계자는 "보험설계사는 하는 만큼 소득이 늘어난다. 하지만 기본급이 주어지면 계약을 많이 모집할 유인이 떨어질 수 있다"면서 "이런 부분이 정규직 설계사 모델의 실패 요인이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최석범 기자
01065319988@seoulwire.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