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 주해승 기자] 한국은행이 25일 기준금리를 연 2.50%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4회 연속 기준금리를 올린 것은 한국은행 역사상 처음이다.
가파른 물가상승세를 억제하고,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고강도 긴축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이날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기존 연 2.25%에서 연 2.50%로 0.25%포인트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우리나라 기준금리가 연 2.5%가 된 것은 2014년 8월 이후 약 8년 만으로, 금통위는 지난해 8월부터 이날까지 기준금리를 7차례, 총 2.0%포인트 인상했다.
앞서 금통위는 2020년 3월 코로나19 발생으로 인한 금융시장 패닉을 진정시키기 위해 '빅컷'(0.50%포인트 인하)을 단행해 1.25%였던 기준금리를 단숨에 0.75%로 낮췄다. 같은해 5월에는 0.50%로 0.25%포인트 추가 인하했다.
그러나 이듬해인 2021년 8월 금통위는 기준금리를 0.75%로 0.25%포인트 인상했고, 같은해 11월 1.00%로, 올해 1월 1.25%로, 4월 1.50%로, 5월 1.75%로 올렸다. 7월에는 '빅스텝'(0.50%포인트 인상)을 단행하면서 기준금리는 2.25%로 올랐다.
금통위는 이번에도 가파른 물가 상승세를 억제하고, 미 연준의 공격적인 금리인상에 따른 한·미 금리역전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금리를 올린 것으로 분석된다.
국내 7월 소비자물가지수(108.74)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6.3% 뛰었다. 이는 1998년 11월(6.8%) 이후 23년 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향후 1년의 예상 물가 상승률에 해당하는 기대인플레이션율도 이달 4.3%로 여전히 4%대를 웃돌고 있다.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역전' 상태도 기준금리 인상의 배경으로 꼽힌다. 앞서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지난달 27일 2개월 연속 자인언트 스텝(한꺼번에 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을 밟으면서 미국의 기준금리(2.25∼2.50%)는 한국(2.25%)보다 높아졌다.
다만 금통위가 이날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추가 인상하면서 금리 수준은 다시 같아졌다. 한미 금리 격차를 좁혀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과 원화 약세, 수입 물가 상승 등의 위험을 최대한 막으려는 조치로 풀이된다.
- [포토] 한은 금통위 기준 금리 0.25%P 인상
- 긴축 공포에 미국 집값 3년만에 첫 하락… 2011년 이후 최대폭
- 금융당국, MG손보 대표 관리인 김봉진→황대성 금감원 교수로
- "곧 추석인데 어쩌나"… 시금치 80%·청상추 70% 올랐다
- 코스피, 동학개미 매수에 2460선 뚫었다
- 마른 땅 파키스탄, 올여름 물폭탄으로 '대재앙'...900여명 사망
- 푸틴에 일격...미국인 53% "러 철수 때까지 우크라 지원해야"
- 은마아파트 민원에 GTX-C 우회 검토… '멘붕' 빠진 현대건설
- 동학·서학개미 열풍에도 가계 금융자산은 현금·예금
- 코스콤, '금융권 A매치' 채용 나선다
- 삼성증권, 퇴직연금 DC계좌서 국내 상장 리츠 매매 서비스
- [속보] 이창용 “기준금리 0.25%p 인상, 만장일치”
- 이창용 한은 총재 "미국보다 금리 인상 먼저 종료하기 어렵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