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유지율 69%, 상용직 취업자85%… 대표 일자리 사업 성장
취업자 58% 경력활용 일자리 연계, 중장년 새 일자리 모델 제시
민관협력 통한 '집합적 임팩트' 성공 사례 인정… 美 학술지 게재

(왼쪽 두번째부터) 신철호 상상우리 대표, 하형소 고용부 통합고용정책국장, 이병훈 현대차그룹 상무, 임성미 서울시50플러스재단 경영기획본부장이 참가자들과 기념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현대차그룹 제공
(왼쪽 두번째부터) 신철호 상상우리 대표, 하형소 고용부 통합고용정책국장, 이병훈 현대차그룹 상무, 임성미 서울시50플러스재단 경영기획본부장이 참가자들과 기념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현대차그룹 제공

[서울와이어 박정아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중장년 세대의 재취업을 지원하는 ‘굿잡 5060’을 통해 이뤄낸 지난 5년간의 사업 성과를 26일 공개했다.

2018년 7월 출범한 굿잡 5060은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50~60대 중장년의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대차그룹과 고용노동부, 서울시50플러스재단, 상상우리 등 민·관·사회적기업이 협력해 만든 일자리 창출 사업이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25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굿잡 5060 2022 성과 공유회를 개최하고 지난 5년간의 사업 성과를 발표했다.

굿잡 5060은 출범 이후 지난 9월까지 총 4091명의 지원자 중 심사를 거쳐 1001명을 선발했다. 참가자들은 평균 나이 55.4세·평균 경력 24년의 은퇴 인력이다. 이들은 기존 업무 전문성에 핵심역량 강화 교육, 인턴십, 취업 정보 세미나, 취업상담 등의 활동에 참여하며 다양한 업무역량을 확보했다.

총 950명의 수료 인원 중 재취업에 성공한 인원은 565명이다. 취업률은 60%, 6개월 이상 고용유지율은 69%에 달한다. 교육 수료 후 취업에 든 기간이 평균 3.8개월로 짧았을 뿐 아니라 전체 취업자 중 85%가 단기적인 일자리가 아닌 4대 보험이 보장되는 상용직에 재취업했다.

특히 중장년의 전문성과 경력 활용이 가능한 일자리를 연계하며 큰 성과를 거뒀다. 취업자 중 58%는 기존 경력을 활용해 전문성이 있어야 하는 일자리에 재취업했다. 이 과정에서 청년기업들은 우수한 역량을 갖춘 중장년을 채용하는 기회를 얻었다. 

올해는 전주와 부산에서 지역 시범 사업을 통해 지역 특성에 맞는 중장년 인재 발굴과 지역 간 인재격차 해소에도 기여하며 전국 사업으로의 확장 가능성을 확인했다.

지난해에는 국제 학술지 ‘스탠포드 소셜 이노베이션 리뷰(SSIR)’에 ‘컬렉티브 임팩트를 위한 생태계 차원의 접근법-굿잡 5060 프로그램 사례’라는 제목의 아티클이 게재됐다. 또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기반해 사업을 분석한 결과 5년간 투입 예산의 4.5배인 약 80억원의 사회적 가치를 창출한 것으로 집계됐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굿잡 5060은 지난 5년간 중장년에게 취업에 대한 자신감을 넘어 스스로 삶의 후반기를 준비할 수 있는 동력을 제시했다”며 “앞으로도 중장년의 경험과 전문성을 활용해 지속 가능한 일자리를 창출하고 개인과 기업의 동반성장에도 더욱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