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등에 ‘환매 자제’·‘P-CBO’ 매입 요청
“지침‧규정대로 투자”… 국민연금 사실상 거부

[서울와이어 김남규 기자] ‘레고랜드 사태’로 촉발된 금융시장 불안이 커지는 가운데, 금융당국이 국내 주식시장의 ‘큰 손’인 기관투자자들에 도움의 손길을 내밀었다. 과도한 추종 매매나 환매를 자제해달라고 요청했지만, 실제 효과를 볼 수 있을지는 미정이다.
28일 금융당국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전날 오후 금융감독원, 기획재정부와 함께 국민연금 등 10여개 대형 기관투자자가 참석한 간담회를 열고 시장 안정을 위한 협력을 요청했다.
이날 간담회는 지난 26일 긴급 소집돼 영상으로 진행됐다. 국민연금과 우정사업본부, 사학연금, 공무원연금, 토지주택공사 등 대표 기관투자자가 모두 참석했고, 은행권에서는 농협은행, 보험권에서는 삼성생명이 참석했다.
이날 금융당국 측은 채권 매각과 펀드 환매가 필요해도 시장 상황을 고려해 최대한 시기를 분산해달라는 주문했다. 특히 MMF 등 단기자금 시장에서의 환매 자제를 당부했다. 금감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18일부터 24일까지 MMF 시장에서 매일 수천억원에서 1조원 상당의 자금이 이탈했다.
금융당국은 현재 MMF 시장에 이상징후가 없지만, 기관들의 추후 유동성 확보 과정에서 환매 규모가 커지면 단기자금 시장의 추가 불안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또한, MMF에서 대규모 환매가 일어나면 펀드에 편입된 CP 등을 매도하는 과정에서 채권시장이 다시 한번 불안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금융당국은 국민연금에 정부 유동성 공급 프로그램의 일환인 프라이머리채권담보부증권(P-CBO)를 적극적으로 매입해 달라고도 했다. P-CBO는 신용보증기금 등이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 회사채와 대출채권에 보증을 제공해 발행하는 증권이다. 중소기업 회사채지만 신보가 보증을 선 것으로 안정성이 최고 수준이지만, 최근 매수세가 약해진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당국의 매입 확대 요청에 국민연금은 사실상 거부 의사를 밝혔다. ‘내부 지침과 규정에 따라 P-CBO에 투자하고 있다’는 원칙을 내세운 것이다.
반면 은행들은 채권시장안정펀드(채안펀드)의 ‘캐피털 콜’(펀드 자금 요청)에 신속히 응하고 시중 자금의 ‘블랙홀’로 지적된 은행채 발행을 최소화하는데 협력할 의사를 밝혔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자금 시장 안정을 위한 자산운용이 필요한 시기라는 데 공감대가 형성됐다”며 “향후 과도한 추종 매매나 평소 이상의 대규모 환매를 자제해 달라고 요청하는 자리였다”고 설명했다.
- 푸틴, 안 풀리는 우크라전쟁에 뿔났나...210분 美.유럽 격정 비판
- 모듈·부품 공급 확대하니… 현대모비스 실적 '사상 최대'
- [메타센서] 다 풀리는 부동산 금융규제… 집값 하락세 멈출까
- "김장 물가 잡는다"… 정부, 마늘·고추·양파 1만톤 푼다
- 尹, 김의겸 ‘심야 술자리’ 의혹… “저급하고 유치한 가짜뉴스”
- 한은, 2023년도 금통위 일정 확정… 1월 13일 첫회의
- 김주현 금융위원장 재산 29억원… 신성환 금통위원 45억원
- 간 큰 이정근… 실세들과 친분 과시하며 10억 꿀꺽 혐의
- "회 몇 점에 9만원" 논란 월미도 그 집, 이웃 횟집에 고소 당해
- 코스피, 외국인 매도세에 하락 출발… 2270선 약보합
- 尹, 지지율 30%… 6주만에 20%대 탈출
- 난방용 도시가스 요금 월 1400원↓… 동절기 서민물가 안정 총력
- 파산설로 휘청이던 크레디트 스위스, 숨통… 5조6000억 자본 확충
- 北, ‘호국훈련 마지막날’ 탄도미사일 발사 도발
- 다올엔터테인먼트, 대종상영화제 개최금지 가처분 신청
- 비키니 질주 오토바이 커플이 '창피·불쾌감' 유발?...경범죄로 검찰 송치
- 금융당국, 은행채 신고 규제 한시적 완화… 발행물량 축소 목표
- 한동훈 “김의겸, 언론 피해 도망다녀… 가짜뉴스 올인 민주, 안타까워”
- 생애 최초 구매 주담대, 집값 최대 80%까지 보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