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장 "손 회장 문책경고, CEO 책임 물어야 한다는 게 당국 생각"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20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제5차 금융규제혁신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 사진=금융위원회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20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제5차 금융규제혁신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 사진=금융위원회

[서울와이어 최석범 기자] 손태승 우리금융그룹 회장이 본인의 거취를 명확히 밝히지 않는 가운데, 금융위원회가 손 회장을 직접 압박하고 나섰다. 

김 위원장은 20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열린 '제5차 금융규제혁신회의' 이후 기자들과 만나 "라임펀드 문제는 금융위가 수차례 회로 결정한 사안이다. 일반 말단 직원의 문제가 아닌, 최고경영자의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당국이 명확하게 판단을 내린 사안"이라고 말했다.

금융위는 지난달 초 라임펀드 환매 중단사태와 관련해 손 회장에게 '문책경고'를 내렸다. 문책경고는 중징계에 해당한다. 문책 경고 이상의 중징계가 확정되면 CEO 연임이 제한된다. 이와 관련해 효력정지 가처분이나 행정소송 등을 제기하지 않을 경우 연임은 불가하다.

우리금융지주 이사회는 지난 16일 회의에서 금융당국의 제재와 관련한 손 회장의 거취 등을 논의하지 않고, 내년 1월에 논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윤종원 기업은행장 후임자를 뽑는 인선에는 정은보 전 금융감독원장이 포함됐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기업은행장 임명은) 금융위 제청이기 때문에 복수 후보자에 대해 검토를 하고 있다"며 "(현 윤종원 행장의)임기가 1월 2일 만료되기 때문에 보고 있다"고 말해다.

관치논란과 관련해서는 "관치도 문제지만, 주인이 없는데 CEO가 우호적인 세력만 놓고 계속해서 그분들 중심으로 운영하는 인사가 맞느냐"라며 "합리적 접점이 필요할 것 같다는 칼럼을 본 적이 있는데, 그런 원칙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