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현대차그룹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가 탑재된 전기차들이 주요 글로벌 충돌 테스트에서 모두 최고등급 기록하는 등 최고 수준의 안정성을 입증했다.
25일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아이오닉5와 기아 EV6, 제네시스 GV60는 미국 고속도로안전보험협회(IIHS) 충돌 평가에서 최고등급인 ‘톱 세이프티 픽 플러스’(TSP+)를 획득했다.
IIHS는 전 세계에서 가장 까다로운 충돌테스트 평가를 진행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실제 차량 전면부 일부만 충돌시켜 안전성을 평가하는 스몰 오버랩 테스트를 도입했다.
IIHS 올해 현대차그룹 전용 전기차 3종의 충돌평가 결과를 발표했고, 현대차그룹의 전용 전기차뿐 아닌 파생 전기차 모델도 최고등급을 부여받았다.
전 안전 항목 평가 기준을 충족해 TSP+를 등급을 받은 제네시스 G80의 경우 운전석 스몰 오버랩, 조수석 스몰 오버랩, 전면 충돌, 측면 충돌, 지붕 강성, 머리 지지대 등에서 최고 레벨인 ‘훌륭함(good)’을 받았다.
또 전방 충돌방지시스템 테스트에서는 ‘우수함’(advanced) 이상을, 전조등 평가에서 '양호함‘(acceptable) 이상을 획득하는 성과를 거뒀다. 특히 현대차그룹은 내연기관차 포함 총 15개 차종이 TSP+를 받는 성과를 냈다고 밝혔다.
TSP+를 획득한 차종은 현대차 투싼·팰리세이드·싼타페·넥쏘, 기아 EV6·K5·스팅어, 제네시스 G90, G80, G70, GV80, GV70 등이다.
그룹은 이와 함께 지난해 현대차 아이오닉5가 '유로 NCAP'에서 최고등급인 별 다섯을 받은 데 이어 올 5월과 9월엔 EV6와 GV60가, 11월에는 아이오닉6가 같은 등급을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현대차그룹은 2000년대 후반 1세대 플랫폼을 시작으로 현재의 E-GMP에 이르는 자체 안전성 발전 역사를 담은 영상을 유튜브 등을 온라인에 이날 공개했다. 영상은 3D 애니메이션으로 구성돼 주요 부위의 차체 설계 변화를 알기 쉽게 전한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E-GMP에 세계 최초의 멀티 급속 충전 시스템, 양방향 V2L과 같은 혁신적인 기능이 탑재됐으며, 자동차 플랫폼의 기본기인 안전 분야에도 만전을 기했다”며 “앞으로도 고객 안전 최우선 철학을 기반으로 최상의 제품 개발을 위해 역량을 집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산업 이슈 픽] 악재 부딪힌 현대차, 전기차 '라인업 확대' 승부수
- 장재훈 현대차 사장 "2030년까지 전기차에 19.4조 투자"
- 현대차, 월드컵 16강 주역… 전북현대 소속 선수 6명에 '특별 포상'
- 삼성·현대차·롯데 핵심임원 '세대교체'… CEO도 젊어질까?
- 현대차그룹, 모빌리티 혁신 가속… 정기인사서 '젊은 피' 두각
- 삼성전자·성균관대, AI 등 정보통신 맞춤형 인재 양성 본격화
- "이재용 회장표 '상생비전'은 이런 것"… 임직원 자발적 기부에 회사도 지원
- 누적 '4000대' 판매, 23번째 기아 그랜드마스터에 박영근 영업부장
- 사라진 전기차 이점… 독일서 전기차·내연기관차 연료비 역전
- 현대차 '산타원정대' 출격… 1200명 아동에 크리스마스 선물 전달
- 기아, e스포츠 게임단 성적과 연계 '특별한 기부 프로그램' 눈길
- 정의선의 결단… 현대차 10년 만에 생산직 700명 뽑는다
- 현대차 GV70, 미국서 30% 웃돈 줘야 살 수 있다는데… 이유는?
- 쏘나타·K5, IIHS 충돌시험서 안전도 '최하' 점수 받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