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 김남규 기자] 이형주 금융위원회 금융정책국장은 부동산 리스크를 철저히 관리해 부동산 시장의 연착륙을 유도하겠다고 4일 밝혔다.
이형주 국장은 이날 국민의힘과 여의도연구원의 공동 주최로 국회에서 열린 ‘힘내라 우리 경제 도약하는 한국금융’ 토론회에서 올해 금융시장의 당면 과제로 유동성과 부동산 시장, 취약 차주 등을 언급하며 부동산 시장 연착륙 방안을 설명했다.
이 국장은 “금융시장 불안이 높아진 가운데 회사채 금리가 상승하고 주거비용 증가 등으로 주택 수요가 줄면서 미분양 등의 발생 우려가 있다”며 “가계부채 증가와 금리 인상으로 취약 차주의 상환 부담이 늘고 있다”고 지적했다.
부동산 시장 연착륙을 위해서는 “다주택자 주택담보대출 허용 등 대출 규제 정상화와 특례보금자리론 공급을 통한 주거비용을 낮춰야 한다”라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시장의 유동성 경색 및 부실 방지도 주력하겠다”라고 말했다.
그는 PF 부실 방지를 위해 PF-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을 장기대출로 전환하는 사업자 보증 신설해야 한다고도 했다.
이 국장은 “금융시장 내 불안심리 확산을 차단하고 시장안정 조치를 적시에 실시하며 정부와 한국은행 간 긴밀한 협조 및 가용 정책 수단을 총동원해 시장 불안에 적시 대응하겠다”며 “소상공인 대환대출, 고정금리 전세자금 대출상품 확대, 올해 정책서민금융 10조원 공급, 금융권 주택담보대출 자율채무조정 대상을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끝으로 그는 “고금리 기조 지속에 대비해 금융권의 손실 흡수 능력을 선제적으로 제고하겠다”며 “특별대손준비금과 금융안정계정 설치 등을 통해 금융사 건전성을 강화하겠다”고 말을 맺었다.
- 하나은행, 2023 계묘년 맞이 ‘작심하고 적금 시작’ 이벤트 실시
- TSMC도 못피하는 반도체 불황… 파운드리도 혹한기 지속
- 윤대통령, 합동드론부대 창설·연내 스텔스무인기 개발 지시
- 새해 벽두부터 흘러내리는 증시… 언제쯤 생기 돌까
- "고기로 상추 싸먹을 판"… 채솟값 2배 '껑충'
- 이재명 “소환 조사 받겠다는데 뭘 방탄한다는 것이냐”
- [메타센서] 원희룡 "그린벨트 풀겠다"… 어디를 풀고, 무엇을 할까
- 국내 배터리 3사, 시장점유율 하락에도 미소… 이유는?
- "북한 리용호 전 외무상 작년 여름 처형된 듯"...이유가 망명 방지?
- 이재명 '신년인사회 불참' 놓고 여·야 뒷말 무성
- 이석용 NH농협은행장 “고객이 먼저 찾는 은행 되겠다”
- '특례보금자리론' 인기몰이… 3주새 14조 몰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