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바렐라 자동차용 반도체 생산
5나노 공정으로 AI성능 20배 향상
모바일 외 제품군 확대 시작점 선정

[서울와이어 한동현 기자] 삼성전자가 자율주행차용 5나노미터(㎚) 반도체 생산을 시작한다. 미국의 암바렐라에게 수주를 시작으로 고성능 차량용 반도체시장에 진출한다.
삼성전자는 21일 이같이 밝히고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에 탑재되는 암바렐라의 최신 시스템온칩(SoC) ‘CV3-AD685′ 생산을 시작한다.
CV3-AD685는 암바렐라의 차세대 AI 엔진을 탑재했으며 자율주행 차량의 두뇌 역할을 한다. AI 반도체는 고성능, 저전력 등 효율을 최대로 끌어올리는 것이 경쟁력으로 꼽힌다. 삼성전자의 5나노 파운드리 공정은 이를 극대화하는데 성공했다는 평가다.
암바렐라 CV3-AD685는 삼성전자 5나노 공정 제품을 사용하면서 전작보다 20배 이상 성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성능 개선에는 삼성전자의 오토모티브 전용 IP, 최신 공정, 패키징 기술과 노하우가 주효했다.
이번 수주는 파운드리 고객사를 확보하는 청신호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동안 파운드리 수율 문제가 발목을 잡았는데 이를 해소했다는 것을 알릴 기회이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최근까지도 수율을 끌어올리기 위해 상당한 공을 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회사는 앞으로는 수율이슈가 없을 것이라고 공언도 했다.
여기에 4나노 포트폴리오도 순조롭게 채워지고 있다. 4나노 공정라인업이 5개로 확대됐다. 2025년까지 연간 1개씩 4나노 반도체 라인업을 상용화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2027년까지 2027년까지 파운드리 사업에서 모바일 외 제품군의 매출 비중을 절반 이상으로 높일 계획이다.
페르미 왕 암바렐라 최고경영자(CEO)는 “삼성전자의 검증된 오토모티브 공정을 통해 자율주행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과 ‘레벨 2+’부터 ‘레벨 4′ 구현에 필요한 높은 수준의 AI 성능과 전력 효율을 구현했다”고 말했다.
심상필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 부사장은 “첨단 5나노 공정은 자율주행 차량의 전례 없는 성능 향상을 가져올 것”이라며 “자동차 업계 고객들이 CV3-AD SoC의 탁월한 성능을 경험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물가관리가 사명인 한은 총재 "전기·가스요금 적정 수준으로 올려야"… 이유는?
- 포스코, 광양제철소 전기로 신설에 6000억 투입… 탄소 얼마나 감축할까
- '얼라인' 세글자에 주가 상승한 SBS… 주주행동은 'NO'
- LG엔솔, 포드·코치와 튀르키예 배터리 합작공장 MOU
- 삼성·LG전자, 경기침체 속 글로벌 TV시장 장악력 여전
- 삼성전자 사상최대 실탄장전… 대형 M&A 이어지나?
- 심상정 "정부, '론스타 판정문' 축소․은폐 발표"… 한글 번역본 공개
- KB금융, 신임 사외이사 후보로 김성용, 여정성, 조화준 추천
- KT 구현모 연이은 득점… 몽골 이어 싱가포르 통신사 협업까지
- IBK기업은행, 튀르키예·시리아 지진 피해 성금 3억원 지원
- KB국민은행, 리브모바일 갤럭시 S23 출시 이벤트 실시
- 우리은행, ‘도전! 우리펫모델’ 기념 NFT 발행
- 특례보금자리론 고객, 기존주택 3년 안에 팔면 된다
- 케이뱅크, 전세대출 금리 0.12%p 인하
- 삼성전자, C랩 아웃사이드 대구 캠퍼스 개소… "지역 대표 스타트업 키운다"
- 미국 "삼성·SK가 중국서 만드는 반도체에 한도 설정"
- 삼성전자, 독일서 4년만에 오프라인 '테크세미나' 개최
- '전장시장' 정조준 삼성전자… "시장 리더십 키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