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사 동맹 바탕, 유럽시장 내 주도권 확보 목표

LG에너지솔루션이 글로벌 완성차기업 포드, 튀르키예 최대 기업 코치와 손잡고 유럽 전기차시장 공략을 가속할 방침이다. 사진=LG에너지솔루션 제공
LG에너지솔루션이 글로벌 완성차기업 포드, 튀르키예 최대 기업 코치와 손잡고 유럽 전기차시장 공략을 가속할 방침이다. 사진=LG에너지솔루션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미국 완성차 업체 포드, 튀르키예 최대 기업 코치가 추진 중인 전기차 배터리 생산 합작법인 설립 파트너로 낙점됐다.

LG에너지솔루션 등 3사는 22일 튀르키예 앙카라 인근 바슈켄트 지역에 2026년 양산을 목표로 약 25GWh 규모의 배터리 공장건설을 추진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이들은 해당 공장의 생산능력을 45GWh까지 확대하는 방안 등을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 합작법인을 통해 생산되는 배터리는 포드가 유럽과 북미시장에 출시하는 상용차에 탑재될 예정이다.

현재 포드와 코치는 튀르키예 내 합작사 ‘포드 오토산(Ford-Otosan)’을 설립해 연 45만대 규모로 상용차를 생산하며, 이 가운데 상당수는 유럽에서 판매된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번 합작법인 설립으로 앞으로 고성장이 예상되는 유럽 전기 상용차시장 주도권을 선점한다는 구상이다. 미래 전략과 품질 및 성능 측면에서 경쟁력 있는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공급받고자 하는 포드와 이해관계도 맞아 떨어졌다. 

회사의 경우 세계 최고 수준인 연간 200GWh 규모의 생산능력을 확보한 상태로 단독 및 합작형태로 전세계 6개 국가에 생산라인 체제를 구축한 유일한 업체다. 차별화된 글로벌 생산 역량, 제품 경쟁력을 갖췄다는 평가로 지난해 말 기준 수주잔고는 385조원에 달한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유럽시장에서 리더십이 더욱 공고해질 것으로 기대한다”며 “합작사 설립을 통해 포드와 파트너십 관계 확대와 전동화 전환 계획의 필수 요소인 배터리 공급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포드 역시 지난해까지 8년 연속 ‘유럽 상용차시장에서 가장 많은 차량을 판매한 브랜드’ 자리를 지켰다. 글로벌 완성차업계 전통적 강자로 포드 대표모델인 트랜짓(Transit)의 경우 2018~2022년 5년 연속 글로벌 미니버스·밴(LCV)부문 판매량 1위를 차지한 ‘베스트 셀링 카’다. 

유럽시장에서만 연 27만대(2021년 기준)가량 판매되고 있으며, 앞으로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가 탑재될 전동화 모델(E-Transit)도 견조한 수요가 예상된다. 포드는 2026년까지 전세계적으로 전기차 200만대 이상을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이 회사는 지난해 ‘포드 플러스(Ford+)’라는 전동화 전략을 발표하는 등 2030년까지 300억달러 이상을 투자해 신차 판매 중 전동화 차량 비중을 40%까지 확대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 같은 목표 달성을 위해 2011년 이후 매년 공급물량을 꾸준히 늘려왔다.

LG에너지솔루션은 적극적인 글로벌 생산능력 확대를 통해 올해 생산능력을 300GWh까지 높이고 ▲제품 경쟁력 차별화 ▲스마트팩토리 구현 ▲SCM 체계 구축 ▲미래 준비 등 4대 핵심 과제를 중점 추진해 차별화된 고객가치를 제공해 나갈 예정이다.

권영수 LG에너지솔루션 최고경영자(CEO) 부회장은 “회사의 독보적인 글로벌 생산 경험과 투자 역량, 차별화된 제품 경쟁력이 포드와 오랜 파트너십을 이어올 수 있었던 비결”이라며 “선도적인 고객가치 역량을 강화해 유럽의 전기차 전환을 가속화하고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협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리사 드레이크 포드 전기차 산업화담당 부사장은 “전기차 생산기지 인근에서 배터리를 생산하겠다는 약속을 차질없이 이행하고 있다”며 “유럽 전기차시장 성장 속 LG에너지솔루션 및 코치와 탄탄한 생산기반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코치 측은 “대대적인 투자가 국가적인 재난의 시기를 극복하는 데 큰 역할을 해줄 것으로 믿는다”며 “자동차산업에서 튀르키예가 글로벌 경쟁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두 글로벌 기업과 함께 투자 시설을 확충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