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 몰리는 '피크타임' 집중 전략
"휴가철 등에는 영업시간 늘릴 것"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이마트가 다음 달 3일부터 전국 점포의 영업 종료 시간을 종전 오후 11시에서 10시로 한 시간 앞당긴다. 야간에 매장을 찾는 고객이 줄고 ‘피크타임’ 방문객 비중은 늘면서다.
이마트는 4월3일부터 전국 점포를 오전 10시에 열고 오후 10시까지 운영하기로 결정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조정으로 매장을 찾는 고객에 대한 서비스 수준을 높이고 직원들의 삶의 질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마트는 전국 136개 점포 중 23개 점포가 지난해 12월 이전부터 오전 10시~오후 10시 운영을 실시해 왔다. 또 12월부터 43개 점포가 영업 종료 시간을 오후 11시에서 10시로 조정했다. 이들 66개 점포는 문 닫는 시간을 3월 이후에도 오후 10시까지로 유지한다.
여기에 나머지 점포들도 영업 종료 시간을 조정한 것이다. 다만 야간 방문객과 유동 인구가 많은 왕십리·자양·용산·신촌점 등 4곳은 오후 10시30분까지 영업한다.
이마트는 영업시간 조정은 고객들의 소비 패턴 변화를 반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오후 10시 이후 이마트 매장을 찾는 고객 비중은 2020년 4.4%에서 지난해 3.0%로 감소했다. 주 52시간 근무가 정착되고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사회 분위기가 형성되며 퇴근시간은 빨라졌고 대형마트를 찾는 시간대도 앞당겨졌다.
반면 피크타임에 고객들이 몰려들었다. 이마트가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시간대별 매장 매출액 비중을 분석한 결과 오후 2~6시가 가장 컸다. 평일에는 40%를 차지했고 주말에는 절반에 육박했다. 오후 2~6시 비중은 지난해가 2020년에 비해 평일은 0.3%포인트, 주말은 1.4%포인트 각각 늘었다.
이마트는 영업시간 조정을 통해 절감된 비용은 상품 경쟁력 강화에 투자할 계획이다. 이마트는 올해도 ‘보장된 품질’과 ‘저렴한 가격’을 갖춘 상품 소싱 및 개발을 확대하는 데 역량을 쏟고 있다.
영업시간 조정은 영구적인 것은 아니며 상황에 맞게 탄력적으로 운영한다. 쓱세일 같은 대형 행사와 여름 휴가철 등 전체 고객이 늘고 야간 방문 비중도 커지는 시기에는 영업시간을 늘리는 등 고객 편익 측면에서 조정할 수 있다.
강희석 이마트 대표는 “고객들의 소비 패턴 변화를 기반으로 서비스 질을 높이고자 영업시간 조정을 시행한다”며 “고객과 임직원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유통업계 변화를 선도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롯데·현대백 넘은 쿠팡의 무서운 질주… 이젠 이마트 정조준
- '단 이틀' 스벅, 아메리카노 2500원에 판다
- 국민이 가장 좋아하는 과일은 사과·귤?… 딸기가 '최고'
- 하나로마트, 한우 반값에 팔았더니 100m줄 난리… 대형마트도 가세
- '연매출 30조 눈앞' 이마트… 영업익은 54.2% 감소
- 롯데·신세계 실적, 백화점 패션·화장품이 살렸다…자회사는 '씁쓸'
- 애플페이 걸림돌은 NFC… 삼성 아성 넘보기는 시기상조
- 올해 서른살 이마트, 전기차·골드바 쏜다 "1년 내내 감사이벤트"
- 정순신 아들 학폭 논란, 경찰 수사 착수…처벌까지 이어질까
- '비대면 장보기' 대세로 굳어졌나… 지난달 온라인쇼핑거래액 '18조원’
